■ 안전성 관점에서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재개’ 토론회 전문가 의견

대전 이어 21일 울산서도 토론회
범군민대책위 “토론회 요식행위”

건설이 일시 중단된 신고리 5·6호기의 건설 영구 중단과 재개 여부를 논의하기 위한 토론회가 대전에서 열렸다.

공론화위원회는 13일 대전시청 3층 대강당에서 ‘안전성 관점에서의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재개 문제’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발제에 나선 정용훈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와 한병섭 원자력안전연구소 박사는 안전성 이슈에 대한 발제를 통해 건설 재개와 중단에 대해 팽팽히 맞섰다.

정 교수는 “세계적으로 지진 때문에 사고가 난 원전은 없었다”며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지진에서 안전한 국가이며, 신고리 5·6호기는 규모 7.0의 지진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강조했다.

또 “후쿠시마 원전은 지진에 잘 견뎠지만 해일에는 무방비였다. 그러나 신고리 5·6호기는 해수면 8m 높이에 지어지고 밀폐형 방수문도 있어 침수에 대한 대비가 충분하다”며 “최악의 경우 노심이 녹더라도 원자로 격납건물의 다양한 방어 수단을 통해 방사능 외부 누출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한 박사는 “지난해 한빛 4호기에서 철판 부식이 뒤늦게 발견됐고, 콘크리트 타설에도 문제가 있는 등 여러가지 부실공사가 드러났다”며 “상황이 이런데도 한수원은 사실을 은폐하는 데만 급급해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고 지적했다.

한 박사는 또 “원전 밀집지역 주민이 생각하는 원전 안전성의 기준과 멀리 떨어진 수도권의 안전성 기준은 다를 수밖에 없다”며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의혹이 풀릴 때까지 건설을 쉬어갈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앞서 발제에 나선 임채영 원자력학회 박사는 “신고리 5·6호기는 세계 최초의 3세대 최신형 원전으로, 국제적으로도 안전성을 입증받았다”며 “에너지의 95% 이상을 수입에 의존해야 하고 지하자원이 거의 없는 자원 빈국의 가능한 대안은 원전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전력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중저준 위방사성 폐기물과 사용후핵연료 처리비용 등 사후처리 비용을 고려하더라도 원전은 여전히 경제적”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원전 건설을 중단하게 되면 2조8000억원의 세금을 낭비할 뿐 아니라 정부에 대한 신뢰가 깨진다”고 우려했다.

공사 중단을 주장한 장다울 그린피스 캠페이너는 “신고리 5·6호기가 건설되면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밀집지역이 될 것”이라며 “제4기 단층인 활성단층이 존재하는 원전 일대에는 수백만 명의 시민이 살고 있다. 사고가 난다면 후쿠시마나 체르노빌 사고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공론화위는 오는 18일 부산, 21일 울산에서 순회 토론회를 이어간다.

이에 공론화에 반대하는 범군민대책위는 “시민배심원단이 거의 확정된 상태에서 국민들을 상대로 토론회를 한다는 것은 공론화 과정의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요식행위에 지나지 않는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춘봉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