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준호 사회부기자

최근 울산공항에 국내 대표적인 저비용항공사(LCC) 2곳이 취항할 것을 공식화했다. 큰 변수가 없는 한 연내 취항은 기정사실이 되고 있다. 이번 저비용항공사 취항을 두고 항공업계의 반응은 제각각이다.

취항이 정상적으로 이뤄진다면 당장 KTX개통 후 줄어들었던 항공편수가 늘어날 것이다. 공항활성화의 가장 기본인 여객이 늘어나면 그에 따른 인프라 확충에 대한 필요성도 자연스레 제기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될 수 있다. 침체일로를 겪던 울산공항이 다시한번 비상할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반면 저비용항공사들이 사드배치에 따라 주 고객이었던 중국과의 관계가 소원해져 중국인 관광객이 축소되자 그에 따른 여력을 국내선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김해공항 등의 슬롯 포화상태로 울산공항에 눈길을 돌렸다고 보는 입장에서는 향후 수익이나 여건 등을 보고 저비용항공사들이 언제든 울산을 떠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 저비용항공사의 진출로 기존 대형항공사(FCS)의 철수가 가시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울산공항에 취항 중인 아시아나항공이 에어부산 취항에 따라 철수할 가능성이 높다. 항공업계에서는 두 항공사 모두 금호아시아나그룹의 계열사라는 점 때문에 에어부산의 울산공항 취항과 함께 아시아나 철수를 예상했었다. 에어부산이 계획한 운항편수가 기존 아시아나보다 많기 때문에 당장 큰 손해는 없다고 하지만, 아시아나가 철수하게되면 남은 대한항공도 울산공항을 떠날 여지가 생길 수도 있다.

울산공항이 지방 국내 공항으로서의 한계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다만 이번 저비용항공사 취항이 울산공항에 기회가 된 것은 확실해 보인다.

지방 거점항공사 설립이나, 막대한 재원을 투입한 시설개선이 단기간 이뤄지기 힘든 상황에서 이제 이들 취항 항공사를 붙잡고 노선을 확대해나갈 현실적인 방법 마련이 중요한 시점이다. 공항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인센티브 요건 완화나 지원 확대 등 지자체 차원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단기 국제선 부정기편 운항을 위한 정부 설득과 최소한의 투자를 이끌어내는 것도 필요하다. 공항활성화에 대한 행정·기업·민간 등 지역사회 공감대 형성도 다시 시작해야한다. 울산공항이 비상(飛上)과 비상(非常) 갈림길에서 어떤 미래로 향할지는 지금부터 준비에 달렸다.

김준호 사회부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