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후속…248개 관서·기구 해설

▲ 철거 전 조선총독부.

일본 제국주의가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고 지배하기 위해 어떤 기구들을 만들어 운영했는지 한눈에 볼 수 있는 책이 나왔다.

민족문제연구소는 5년간 작업을 거쳐 ‘일제식민통치기구사전: 통감부·조선총독부 편’을 펴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소가 2009년 출간한 친일인명사전이 친일행위를 한 조선인 목록을 집대성한 것이라면 통치기구사전은 통감부와 조선총독부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최초의 사전이다.

통감부는 일제가 대한제국을 감독하고 식민지화하기 위해 1906년부터 1910년까지 운영한 기구이며, 조선총독부는 1910년 조선 병합 후 1945년 해방 때까지 우리나라를 식민 지배한 통치기구이다.

사전에는 통감부 및 조선총독부의 기구와 관서 248개가 존속기간, 성격, 연혁 등의 해설과 함께 총망라됐다.

친일 정치인이 소속된 자문기구인 중추원의 연혁과 의관 명단도 실렸다.

▲ 통감부의 과거와 현재.

1894년 갑오개혁 때 설치돼 내각 자문을 담당하던 중추원은 일제의 식민지화 추진을 돕는 어용 기구로 전락했다.

당시 일제는 강제병합에 협력했음에도 총독부 관료로 임명되지 못한 친일파들을 중추원 요직에 앉혔다.

이완용, 박영효, 민병석 등이 부의장·고문 등으로 임명됐다.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조선총독부 산하 위원회도 사전에 실렸다.

140여개에 달하는 총독부 위원회는 대부분 한시적으로 운영되면서 심의·조사·자문·징계·조정 등의 기능을 통해 식민지 조선의 현안을 처리했다.

대표적인 위원회가 조선 토목사업에 관한 제도·계획·설비를 조사·심의한 ‘토목회의’, ‘조선 귀족에 관한 심사위원회’, ‘농촌진흥위원회’, ‘조선 전염병 및 지방병 조사위원회’ 등이다.

일제는 이러한 식민통치기구를 설치·운영하면서 외형적으로 근대 법령체계와 관료제를 기반으로 했지만, 이는 지배 억압성과 수탈성을 은폐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에 불과했다는 게 연구소 설명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근대의 외피‘를 둘렀지만, 본질은 식민성에 있다는 일제 식민통치 기구의 구체적 전모가 이번에 발간한 사전을 통해 드러났다”며 “사전 집필자의 주관적 해설을 배제해 최대한 객관성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후속 작업으로 ‘일제식민통치기구사전: 일본군·국영기업·관변단체 편’도 출간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