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왕수 사회부기자

신고리5·6호기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울산뿐 아니라 전국적 관심사로 떠올랐다. 원전 건설 여부를 두고 찬반 단체간 공방도 계속되고 있다. 상대를 공격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실상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계속해서 자신들의 입장이 관철될 수 있도록 압박을 가하고 있다. 원전 건설을 두고 과거부터 찬반 단체간 입장차이가 있었지만 지난 5월 제20대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핵심 이슈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환경단체는 이전부터 탈핵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오다 대선 후보들에게 탈핵 공약을 채택해달라고 요구했고, 당선자인 문재인 대통령과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등은 신규 핵발전소 건설 추진 중단 등의 ‘탈핵 10대 공동정책’에 동의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선 이후 공약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최근 울산을 찾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대선 공약과 달리 “노후 원전이 설계수명을 다할 때 셧다운(폐쇄) 시키고 대신 훨씬 더 안전하고 이미 투자된 신고리 5·6호기는 예정대로 진행하는 것이 답일 수 있다”고 말해 환경단체들로부터 반발을 샀다.

문재인 대통령 역시 신고리5·6호기 건설 강행 여론도 만만치 않다보니 공론화위원회를 거쳐 결정하겠다고 한 발짝 물러난 상태다.

10월 말이면 공론화위원회의 입장이 정해지고, 이후 청와대에서 최종적으로 신고리5·6호기의 운명을 결정하게 된다.

지금은 찬반단체들이 자신들의 입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결정 이후엔 공론화위원회의 법적 효력이나 공정성 등을 문제 삼는 목소리가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 벌써부터 공론화위원회 법률자문위원에 탈원전·진보성향의 인사가 대거 포진했다거나 중립성을 유지해야 할 전문가위원회에 친원전 인사가 포함돼 있다는 등의 이의제기도 터져나오고 있다.

원전 건설 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정 이후 갈라진 민심을 어떻게 봉합할 것인가에 대한 준비도 필요하다. 원전 건설 여부에 대한 최선의 선택과 이후 갈등을 최소화할 대책을 기대해본다.

이왕수 사회부기자 wslee@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