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세계 최고의 원전밀집지역이다. 국내 원전 24개 중 12개가 울산을 둘러싸고 있다. 그럼에도 원전 사고 때를 대비한 대응준비는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의 대피나 보호조치가 사실상 불가능할 정도다. 경주지진 이후 울산시가 원전안전도시 구현 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나온 결과다. 우리나라 원전 안전에 대한 신뢰도를 감안하더라도 울산시민으로서는 마음이 편치 않다.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대응태세를 완벽히 구축,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도 부족할 판에 최소한 방호물품조차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사고에 대비한 대피시나리오 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 원전에 대한 시민들의 막연한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울산과학기술원이 수행한 용역결과에 따르면 2015년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확대(원전 반경 30㎞이내)에 따라 울산은 117만 인구가 방사선 방호환경에 들어가지만 보유중인 방재물품은 방호장구 세트 6만9000여개, 마스크 10만7000여개에 불과하다. 인구 대비 100만여 세트가 부족한 셈이다. 또 구체적인 대피 시나리오가 없어 사고시 117만 시민의 대피나 보호조치가 사실상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부산 기장군과 경북 월성군이 독립적인 지방 방사능방재지휘센터를 운영, 사고 발생 시 현장수습, 주민 대피, 독립된 주민보호활동, 사고상황 실시간 발신,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사고상황을 제공하는 정보발신센터로서 기능을 하게 돼 있는 것과는 동떨어져 있다.

용역팀은 울산에도 지방 현장방사능방재지휘센터를 조속히 설립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또 유관기관인 교육청, 경찰청, 군부대와의 비상연락 체계를 구축해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원전 안전도시 구현을 위한 종합계획으로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개년에 걸쳐 △교육 △연구 △규제기관 신설과 △의료시설 지원, 대피시설 인프라 구축 등을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 울산시 자체 방사선 감시시설, 원자력 방사선 관련 정보공개 등 투명성 강화방안, 산업시설·병원 등의 방사선 피폭 최소화를 위한 안전조치, 방사능 방재 교육·훈련 시행방안 등도 반영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울산지역 내 방사능 탐지 및 분석활동을 강화,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수준의 실행가능한 방사능방재대책과 현장 맞춤형 주민보호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이번 용역이 세계 최고 수준의 방사능 방재대책 마련을 위한 밑거름이 되어 빠른 시일 내 ‘원전안전도시 울산’을 전 시민이 체감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