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원전안전 중간보고회

구체적 대피 시나리오 없어
대피·보호조치 사실상 불가
“관련기관 신설해야” 지적도

울산은 원전 밀집지역임에도 원전사고 때 실질적인 대응준비가 크게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 기장군과 경북 월성군처럼 독립적인 지방 방사능방재지휘센터의 조속한 설립과 함께 5개년에 걸친 대피시설 인프라 확충과 각종 관련기관을 신설해 만반의 준비를 해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조사결과는 울산시의 의뢰로 유니스트가 수행한 ‘원전 안전도시 구현 종합계획’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나왔다. 용역결과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확대(원전 반경 30㎞ 이내)에 따라 울산은 117만 인구가 방사선 방호환경에 들어가지만, 보유중인 방재물품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울산이 보유한 보호 방호장구 세트는 6만9000여개, 마스크는 10만7000여개에 불과하다. 용역팀은 추가로 100만여 세트가 필요하며 166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원전 반경 20㎞ 이내 경남도 인구 170만명의 대피시간이 약 5~22시간으로 나타났지만, 원전이 밀집한 울산의 경우 구체적인 대피 시나리오가 없어 117만명 시민의 대피나 보호조치가 사실상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

용역팀은 대안으로 울산에 현장방사능방재지휘센터를 조속히 설립해 사고 발생 시 현장수습, 주민 대피, 독립된 주민보호활동, 사고상황 실시간 발신,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사고상황을 제공하는 정보발신센터로서의 기능 수행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재난 비상대응체계 역시 지금처럼 정부차원의 일괄적인 대처로 일관할 게 아니라 부산처럼 시 자체 방사능 방재대응체제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관기관인 교육청, 경찰청, 군부대와의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해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용역팀은 국내 뿐 아니라 미국 영국 등 선진국 방사선 비상 대응도 참고해 원전 안전도시 구현 종합계획을 내놨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개년에 걸쳐 △교육 △연구 △규제기관 신설과 △의료시설 지원, 대피시설 인프라 구축 등 5개 영역에서 원전 안전도시를 구현하는 계획이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