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명 안팎 암매장 추정…5·18재단 발굴 계획·일정 23일 발표 예정

▲ 5·18 암매장지로 지목된 옛 광주교도소 재소자 농장 터.

교도소 재소자 농장 터…여러 증언과 자료가 지목한 암매장지
 

5·18 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 암매장지로 지목된 옛 광주교도소 재소자 농장 터가 1980년 5월 항쟁 이후 지형이 달라진 것으로 확인됐다.

지형이 바뀌었다는 암매장지 정보가 관련 증언, 계엄군 약도와도 일치해 이 자리에서 37년 만에 5·18 행불자 유해가 발굴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5·18기념재단은 20일 옛 광주교도소 외곽 농장 터에서 행불자 발굴 준비 작업을 마쳤다.

지형·지물 변화상 확인과 제초 등으로 이어진 작업은 지난 18일 현장조사에 대한 후속 조처이자 이달 안으로 착수 예정인 발굴의 준비단계 차원에서 이뤄졌다.

재단은 5·18 항쟁 이전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교도관으로 근무했던 퇴직자와 암매장 추정지인 옛 교도소 농장 터를 둘러보며 테니스장, 주차장, 울타리 등이 1980년 이후에 건립한 시설임을 확인했다.

이 시설물은 18일 현장조사 때 암매장지를 구체적으로 가리킨 제보자가 ‘당시에는 없었다’고 증언해 건립 이력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켰다.

재단은 제보자 증언과 암매장지 위치가 일치한 3공수여단 소속 계엄군 작성 약도에도 시설물 관련 정보가 없어 교도소 측이 언제 테니스장 등을 조성했는지 파악에 나섰다.

5·18재단은 여러 정황을 통해 옛 교도소 농장 터에 행불자들이 암매장당했을 것으로 보고 토지 소유주인 법무부와 발굴 착수 시기와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

법무부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쓰는 탐지장비를 투입하는 방안 등을 재단 측에 제안했다.

재단은 고고학 분야 전문가인 조현종 전 국립광주박물관장과 구체적인 발굴 계획을 마련해 오는 23일께 언론에 발표할 예정이다.

▲ 5·18 암매장 추정지 현장조사.

3공수 부대원이 작성한 약도에 따르면 17명 안팎이 옛 교도소 농장 터에 암매장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5·18 당시 보안대 자료에는 옛 교도소에서 억류당한 시민 28명이 숨졌는데 항쟁 후 임시매장된 형태로 발굴된 시신은 11구에 불과해 농장 터가 유력한 암매장지로 주목받는다.

발굴 대상 지역은 교도소 담장 밖 외곽이나 민간인 출입을 막는 울타리 안쪽 보안구역에 속해 2015년 광주교도소 이전 후 용도를 잃고 방치된 상태다.

면적은 테니스장 2개면 정도에 긴 사각형 형태의 지형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양래 5·18재단 상임이사는 “여러 여건을 고려해야겠지만 이달 안으로 반드시 발굴에 착수할 계획이다”며 “5·18 행불자들이 그곳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