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산악관광의 대표상품으로 손꼽히고 있는 ‘영남알프스 억새군락지’ 보존대책이 갈피를 못잡고 있다. 훼손 가속화로 1960년대에 비해 90% 이상 소멸, 향후 5년뒤 간월재 억새가 자취를 감출 것이라는 경고음에 따라 울산시가 억새복원 및 생육환경 개선사업에 나섰지만 참나무 군락지 훼손 등 또 다른 생태환경훼손 논란에 휩싸이면서 사업을 중단했다. 시는 사업비의 70%에 달하는 국비지원 중단을 표면적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그렇지만 그 단초가 생태복원과는 거리가 먼 주먹구구식 사업추진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는 만큼 사업 전반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보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울산시는 2014년 ‘억새복원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평가 용역’을 완료, 2019년까지 국비 25억원, 시비 11억원 등 총 36억원을 투입해 183만㎡의 억새군락지에 대한 억새복원 및 생육환경 개선사업 추진에 나섰다. 1968년과 2011년의 항공사진을 정밀 분석한 결과 훼손 상태가 매우 심각하다는 용역결과에 따른 것이다. 시는 2015년과 2016년 신불산과 영축산으로 이어지는 하늘억새길 중심의 사업을 진행했다. 영남알프스 9봉우리 중 하나인 신불산 신불재 억새군락지가 1968년 157만4000㎡에서 2011년 13만5000㎡로 축소되고, 간월산 간월재 억새군락지는 68년 343만1000㎡에서 2011년 16만4000㎡로 나타나는 등 영남알프스에 조성된 4개 구간 24.9㎞의 ‘하늘억새길’ 대부분이 44년 전보다 90%이상 훼손된 상태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올해부터는 사업이 아예 중단됐다. 대상지내 잡목제거과정에서 발생한 참나무 무차별 간벌논란과 환경단체의 반대에 부딪히면서 국비지원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시는 산림청의 ‘숲가꾸기 사업’ 예산을 지원받아 우선적으로 잡관목을 제거하고 억새 모종을 심는데 주력했다. 그러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참나무, 철쭉 군락지와 신갈나무 등 관목류를 마구잡이로 베면서 또 다른 환경훼손 논란을 낳은 것이다. 생태복원작업이 맞냐는 의문이 제기될 정도였다. 결국 환경단체의 반발에 부닺쳤고, 논란이 계속되자 국비지원이 중단되기에 이르렀다.

환경단체는 영남알프스 전역을 대상으로 억새를 복원하는 대신 관광객이 집중되는 일부 구간을 대상으로 집중 복원하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산림을 훼손한 후 억새밭을 조성하는 생태 퇴행적 개발 사업이 되지 않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적으로 공감이 가는 부분이 아닐 수 없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 새로운 대책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