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 국회 ‘생활환경 위해 요인…' 토론회서 주장

▲ '친환경' 살충제 계란?…부실행정•구멍난 제도의 합작품(CG).

계란, 가습기 살균제 등 국민이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먹거리와 생활용품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생산-유통-판매 경로를 단번에 확인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의사협회는 7일 국회 도서관에서 양승조 보건복지위원장과 공동으로 ‘생활환경 위해 요인으로부터 국민 건강보호를 위한 토론회’를 열고, 근본적인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백현욱 의협 식품건강분과위원장(분당제생병원 내과), 홍윤철 환경건강분과위원장(서울의대 예방의학과)은 그동안 국내에서 논란이 됐던 살충제 계란·폐렴 유발 가습기 살균제 사례를 들어 관리 시스템의 허점을 지적했다.

살충제 계란의 경우 벨기에·네덜란드·프랑스·영국 등 유럽에 이어 올해 8월 국내 유통 계란에서도 살충제 성분이 나와 전 국민을 혼란에 빠뜨렸다.

당시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계란에서는 피프로닐, 비펜트린, 플루페녹수론, 에톡사졸, 피리다벤 등과 같은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다.

그러나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수산식품부는 살충제 계란 4210만 6473개 중 15~20%를 폐기한 것으로 추정했으나, 나머지 80%의 소비 여부에 대해서는 정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해 논란이 커졌다.

또 객관적 연구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가 논란 초기부터 “계란을 과도하게 섭취하지 않으면 괜찮다”는 식으로 사태를 수습하려는 행보가 국민의 불안감을 가중했다는 지적했다.

백현욱 위원장은 “하루 평균 4000만 개가 소비되는 계란은 국민에게 꼭 필요한 영양소 공급원”이라며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먹거리 안전 문제는 한번 터지면 온 국민의 촉각을 곤두세우게 된다”고 전했다.

백 위원장은 살충제 계란 사태가 생산지·유통단계·판매경로 등을 단번에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았고, 부작용에 대한 중장기적 연구도 부족해 논란이 더 커진 것으로 진단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려면 △사육 환경 개선 △의약품과 동물 약품(농약 등) 연계 관리 시스템 도입 △부작용에 대한 단기·중기·장기 연구와 더불어 생산·유통·판매 경로를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골자로 하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는 게 백 위원장의 주장이다.

그는 “먹이 사슬에 거쳐 잔류한 유해성분이 최종적으로 인간에게 얼마나 나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기초 연구조차 부족하다”며 “다양한 환경적 요인 분석과 인체 건강 위해성 관련 기본 역학 조사를 아우르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즉, 먹거리·생활용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안전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으면 살충제 계란·가습기 살균제와 같은 사태가 언제 또 국내에서 발생할지 모른다는 지적이다.

가습기 살균제 사례에 대해 발표한 홍윤철 위원장도 비슷한 견해를 밝혔다.

환경 호르몬이 선천성 기형 유발 등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입증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비 시스템은 아직 부족하다는 것이다.

홍 위원장은 “국민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환경·보건 분야의 중요성은 앞으로 더 증가할 것”이라며 “별도의 공해기금을 조성해 독립적 정부기구인 ’국가환경보건원‘(가칭)을 설립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