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년만에 처음…수온 20℃ 이하로 낮아져 출현 가능성 없어

해마다 우리 연안을 붉게 물들이며 수많은 양식 어패류를 떼죽음시켜 어민들의 속을 태웠던 유해성 적조가 올해는 모습조차 나타나지 않았다.

1981년 남해안에서 최초로 유해성 적조에 의한 수산 피해가 발생한 이후 36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중부지역은 물론 남부 일부 내륙지역의 최저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등 겨울로 접어들면서 바닷물 온도가 20℃ 아래로 낮아져 유해성 적조생물이 출현할 가능성이 사라졌다고 9일 밝혔다.

적조생물은 수온이 23도 이상으로 높아지고 영양염류가 풍부해지면 나타나고 조건이 맞으면 왕성하게 번식한다.

올해는 처음으로 적조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주의보조차 발령하지 않은 첫 번째 해로 기록됐다.

유해성 적조의 주된 원인 생물인 코클로디니움은 우리 연안에 일부 포자 상태로 잠복해 있다가 활동을 시작하거나 해류를 타고 외해에서 유입한다.

올해는 적조가 발생하는 시기인 7월 초에 늦은 장마가 시작돼 연안 수온이 낮아져 경쟁 관계에 있는 규조류가 왕성한 세력을 유지하는 바람에 연안의 포자가 맥을 못 췄다.

외해에서 유입하는 원인 생물은 대마난류를 따라 연안으로 들어와 대규모로 적조를 일으킨다.

올해는 대마난류의 세력이 유례없이 강해 우리 연안으로 오지 않고 제주도 아래 대한해협으로 빠져나갔다.

태풍이 전혀 한반도에 접근하지 않은 것도 한몫했다.

태풍은 바닷물을 뒤집어 수온을 낮추고 영양염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올해 태풍이 하나라도 내습했다면 아열대 수준으로 뜨거워진 바닷물을 식히고 영양염류를 공급해 유해성 적조가 대규모로 발생할 수 있었지만 다행히 모든 태풍이 일본 쪽으로 치우쳐 지나갔다.

1995년 이후 유해성 적조 발생 현황을 보면 처음 발생 시기는 8월(13회), 7월(6회), 9월(2회), 10월(1회) 순으로 나타났다.

소멸할 때까지 지속한 기간은 최장 79일(2014년), 최단 3일(2010년)이었다. 나머지 해에는 대체로 28~62일간 지속했다.

피해 규모는 한해 최대 764억원(1995년)에 달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