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안전도시’ 용역 보고

방사선 방호대상 117만명

방재물품 100만세트 부족

구체적 대피 시나리오 필요

현장 지휘센터 조속 설립을

지난해 경주 지진에 이은 지난 15일 ‘포항 지진’의 여파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의 중요성이 재차 부각되는 가운데 세계최대 원전 밀집지역인 울산의 원전사고 대응력이 부족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원자력안전 클러스터를 구축, 지역 특성에 맞는 ‘울산형 로드맵’ 수립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19일 울산시에 따르면 원전 안전도시 구현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진행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최종보고회에서 울산의 방재물품 부족과 방사능 누출에 따른 구체적 대피 시나리오 부재 등을 지적하고 65억원 가량의 원전 안전도시 구현 종합계획 수립 용역비 확보 등을 제안했다.

원전 안전도시 구현 종합계획은 2018~2022년 5년간 방사선 비상대응시설·장비 구축·운영, 원자력안전 클러스터 구축,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확대에 따른 광역·기초단체의 대응·지원 대책 등을 위한 분야별·연도별 소요재원 분석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최종보고회에서 연구팀은 “울산은 전국 24기의 원전 중 절반 이상인 16기가 근거리에서 운영되고 있는 세계 최고의 원전 밀집 지역”이라며 “특히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확대(원전 반경 30㎞ 이내)에 따라 울산은 117만 인구가 방사선 방호환경에 들어가지만, 보유중인 방재물품은 보호 방호장구 세트 6만9000여개, 마스크 10만7000여개로 턱없이 부족해 100만세트를 추가로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갑상선 방호약품 과다복용의 부작용을 적극 홍보하고, 방호장구의 올바른 착용법과 주의사항을 가르치는 것을 의무화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또 “정부의 대응 매뉴얼에 각 기관별 수행 내용이 명시돼 있지만, 도로 사정과 인구밀집 등 울산의 특성이 고려된 구체적인 대피 시나리오가 없어 117만명 시민의 대피나 보호조치가 사실상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며 울산형 대피 시나리오 확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아울러 “현장방사능방재지휘센터를 조속히 설립해 원전사고 대응력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며 “유관기관인 교육청, 경찰청, 군부대와의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해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대비 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방사능방재 교육훈련 시행방안으로는 “거주지역, 연령대, 교육콘텐츠, 교육 장소 및 시간, 접근 방법 등 세부사항을 차별화한 대상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작해야 한다”며 “주민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설문조사, 방문조사, 인터넷 조사 등의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교육자 전문 인력 양성을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 관련 정보 공개 방안을 수립해 대 주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원전이 밀집한 울주군 주도의 방사능안전정보공개센터 운영이 필요하고, 해당 센터는 실시간 확인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원전 안전도시 구현 종합계획 실행을 위해 △방사능 방재시설 및 구호 물품 확충에 22억2500만원 △방사능 방재인프라 강화에 12억9500만원 △방사능 방재교육 및 방사능 안전교육에 29억6800만원 등 총 64억8800만원의 재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