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왕수 사회부 기자

산업화가 한창일 때만 해도 울산의 대기환경은 최악이었다. 산업단지에서 흘러나오는 매연 때문에 숨을 제대로 쉬기 어려웠고, 태화강은 각종 오폐수로 물고기가 살 수 없는 죽음의 강으로 불렸다. 먹고 살기 힘든 시대다보니 환경보다는 개발에 정책 방향이 잡혔다. 하지만 점차 주민들의 삶의 질이 개선되면서 환경보호에 정책 방향이 잡혔고, 노력의 결실로 이제는 친환경 생태도시 울산으로 불리기도 한다.

울산시는 지난 7월 환경부에 화력발전소 대기오염물 관리 강화를 위한 관계법령 개정을 건의했다.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본부가 운영하고 있는 화력발전시설 11기 중 고황유(황 함유량 2.59%)를 연료로 사용하는 3기의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강화를 골자로 한다. 이 시설은 전력 소비량을 고려해 가동과 중단, 재가동을 반복하고 있는데, 재가동시 안정화 운전에 도달하기까지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늘어난다고 한다. 불가피한 상황을 고려해 관련 법에선 재가동 이후 9시간 동안 배출허용기준인 150ppm 보다 2배를 초과하는 최대 300ppm까지 허용하고 있다. 결국 울산시민들이 고스란히 대기오염 피해를 입고 있는 셈이다.

울산시는 황 함유량이 2.59%인 고황유를 0.3% 이하 저황유로 연료를 변경하고, 배출허용기준도 100ppm으로 낮춰달라는 등의 요구를 했다. 최근 시의회 박학천 환경복지위원장은 울산화력본부의 고황유 발전시설 3기를 조기 폐쇄하고, 나머지 8기와 같은 친환경 청정연료(LNG)를 사용하는 설비로 전환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결의안을 대표발의했다. 시민들의 환경권 보장을 위해 고황유 시설 3기에 대해 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위한 투자 등도 요구하고 있다.

울산화력본부가 법적 기준을 초과해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고황유를 연료로 사용하며 가동과 중단, 재가동을 반복해 환경을 조금 더 오염시킨다는 지적이 있다. 울산시민들을 위해 존재하는 울산시와 시의회가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단순 요구에 그치지 말고 배출허용기준 강화 또는 연료를 고황유에서 저황유 또는 LNG로 전환 등의 결실까지 거둘 수 있길 기대해본다.

이왕수 사회부 기자 wslee@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