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SOC 예산 격감…건설업계 고사 위기

▲ 울산지역 경기 불황이 장기화 하는데다 부동산 규제로 인한 시장 악화로 지역 건설업계가 고사위기에 직면했다. 경상일보 자료사진

울산 건설업계가 고사위기에 직면했다. 정부의 내년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감축과 지자체 공공 공사 감소, 민간 공사 감소, 부동산 규제로 인한 시장악화 등으로 불황이 깊어지면서 ‘물량절벽’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건설업계의 물량부족은 업계의 경영난 악화와 연쇄부도, 나아가 건설업계의 실업한파 우려까지 거센 후폭풍이 우려된다. 본보는 고사위기에 직면한 울산 건설업계가 처한 상황과 문제점을 진단해 본다.

울산 건설수주액 최근 3년간 격감 작년 한해동안 53% 줄어
내년 SOC예산도 반토막 나 지역경제 갈수록 위축 전망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민간부문 일감 크게 줄어 더 걱정

◇울산 내년 SOC예산 45% 격감 지역경제 위축 우려

울산시와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내년도 당초예산(안)에 울산지역 관련 SOC 사업은 8608억원으로 올해(1조5559억원) 대비 무려 45%나 삭감됐다. 올해 정부의 SOC 예산(22조1000억원) 대비 20% 감소한 것과 비교해 두배 이상 높은 삭감률이다.

울산의 이 같은 내년도 SOC 예산 삭감액 규모는 7000억원(­45%)으로 부산 5000억원(­46%), 대구 4000억원(­26%) 보다 더 큰 실정이다. 영남의 동서축을 연결하는 ‘함양~울산 고속도로 건설사업’을 비롯해 동해남부선(울산~부산~포항) 복선화전철 사업, 울산 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사업 등 줄줄이 삭감되거나 반영되지 않았다.

울산지역 건설수주액은 최근 3년간 크게 격감하고 있다. 지역건설 수주액은 2015년 8조3168억원 규모에서 지난해 3조8995억원으로 1년 새 4조4173억원(53%) 격감했다. 공공부문은 1조8324억원에서 1조46억원으로 8278억원(45%), 민간부문 6조4792억원에서 2조8932억원으로 3조5860억원(55%)나 격감했다. 올해 3분기 울산지역 건설수주액도 6600억 규모로 전년 같은 분기 대비 16.8% 감소했다.

지역 건설업계는 SOC 예산이 대폭 줄어들면 건설업계의 실업률 증가와 지역경제 위축과 부동산 시장 경착륙 등을 가능성이 커진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SOC 투자가 1조원 줄어들 때마다 고용이 1만4000명씩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건설업계 “물량절벽 한계상황 대량실직 위기”

울산 건설업계는 지역 SOC 물량이 계속 축소되면 상당수의 업체들이 정상적인 영업활동이 불가능해 한계상황에 내몰리는 기업이 속출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기업이 위기에 몰리면 건설근로자들의 대규모 일자리 실직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울산 중소건설업체 관계자는 “대형·중견 건설사와 달리 지방자치단체가 발주하는 SOC 물량 의존도가 높은 중소건설업계는 그야말로 생사의 갈림길에 놓이게 됐다. 일감이 떨어지면 건설 현장에서 일해서 겨우 먹고사는 사람들 생계에도 치명타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종합건설업계에도 고사 위기감이 팽배해 있다.

지역 한 종합건설업체 관계자는 “토목건축 면허의 경우 기술자 11명이상 갖춰야 하는데 일감을 찾지 못해 반 휴직상태인 곳이 태반이다. 민간 사업에 손해를 보면서까지 저가수주 경쟁에 참여는 업체들도 결국 출혈경쟁으로 회사 재정사정만 더 나빠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울산의 종합건설업 등록업체(면허수)는 2015년 227곳(250개)에서 지난해 225곳(247개)으로 줄었다.

또다른 종합건설업체는 “공공 부문 뿐만 아니라 업계 공사물량 중 75% 정도 차지하는 민간부문 발주가 크게 줄어들고 있는데 더 걱정이다. 지역경제가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정부의 잇단 부동산 대책 등 부동산 규제로 주택부분이 타격을 입다보니 민간 건축이 가라앉은 상태다”고 말했다.

대한건설협회 울산광역시회 김임식 회장은 “SOC 투자 감소는 곧 지역 일자리 감소, 내수 위축 등 지역경제에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온다”면서 “울산시의 국가예산 확보 확대와 지자체 차원의 SOC 투자 확대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