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천 전 국립합창단 예술감독·합창지휘박사

전 세계적으로 음악(Music)이라 함은 자기 민족이나 자기 나라의 고유한 음악을 일컫는다. 유달리 우리나라에서만 음악이라는 단어의 뜻이 서양음악을 말하는 것이고 우리 고유의 음악은 국악이라 칭한다. 우리의 음악교육도 서양음악 중심이다. 우리 고유의 음악을 배우려면 국악을 따로 배워야 한다. 이로 인해 세계 성악계의 중심국가요, 합창의 중심국가가 된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지휘자인 필자가 외국의 음악가들을 만나 이야기할 때 약간의 오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외국의 많은 음악가들은 한국의 음악가들을 만나면 문화유산이 많고 전통이 깊은 한국음악을 들려달라고 요청한다. 음악의 여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음악가들 중 한국인이 많고 한국의 연주단체가 많기 때문이다. 뛰어난 음악가를 많이 배출하는 나라의 음악은 어떤지 호기심을 갖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들의 요구에 따라 한국 작곡가의 곡을 소개하거나 악보를 건네주면, 이거 말고 한국 음악을 보여달라고 한다. 가사가 한국어로 돼 있다고 해도 서양음악의 강약을 따라서 작곡을 하면 발음만 한국어로 읽는 것일뿐 자기들의 음악과 다른 점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원하는 건 한국어법으로 된 음악이다.

서양사람들이 한국음악이라고 느끼게 하는 작품을 쓰려면 한국어가 자연스럽게 읽혀지고 불려지는 장단과 엑센트를 써야 한다. 그렇게 쓰면 노래 부르는 사람도 편안하고 듣는 사람도 한국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지금 대부분의 한국곡은 한국어법으로 쓰여지지 않고 서양어법에 맞는 리듬과 엑센트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사실을 일찍 알아 차리고 한국어법을 사용하고 리듬과 하모니도 한국식으로 쓰는 작곡가가 있긴 하다. 그나마 다행이고 그러한 곡들이 세계 음악인들에게 전달되고 있지만 아직 그 수가 너무 부족하다. 유치원시절부터 한국음악이라는 느낌이 드는 동요를 배우고 장단을 배우고 악기를 배워야 한다. 그런 교육을 받은 아이들이 자라면 자연스럽게 한국노래, 한국음악을 만들게 된다. 세계인이 다 쓰는 오선지를 사용하긴 하지만 그 속에 불어 넣는 음악적인 모든 것이 누가 들어도 한국적 어법에 맞는 노래가 될 때 비로소 한국음악인 것이다. 구천 전 국립합창단 예술감독·합창지휘박사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