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전 해체기술 교류 워크숍’이 6일 롯데호텔 울산에서 오규택 경제부시장과 지역 산·학·연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창균기자 photo@ksilbo.co.kr

정부가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을 추진키로 하면서 ‘동남권’ 지자체의 유치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가운데 울산지역 산·학·연·관이 원전해체 기술개발 등 주도권을 잡기 위한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울산시가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원전 해체시장 선점을 위해 전문가를 초청, 원전 해체기술 교류장을 마련했다.

시는 6일 롯데호텔에서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원자력연구원, 한전KPS, 두산중공업 등의 원전해체 분야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워크숍을 열었다.

워크숍에서 안창용 산업부 원전환경과장은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관련 연구소의 기능, 입지기준, 규모 등을 정하기 위한 정책연구 용역 준비에 관해 설명했다. 안 과장은 “원전해체 미확보 기술 17개를 고리 1호기 본격해체 전인 2020년까지 확보하고 2025년까지 실증화를 마치겠다”며 “국내 시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440조원) 진출을 위해 산학연으로 구성된 연구소가 동남권 지역에 필요하고 있고, 이에 따라 내년에 연구소 설립을 위한 정책연구 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데이빗 케슬 원자력대학원 교수는 금속해체 폐기물 재활용의 중요성과 해외 주요국의 재활용 현황, 해체 폐기물 농도 평균화의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김희령 UNIST 교수는 원전해체 부지 지하수 등 수중의 베타와 감마선 모니터링 기술, 순베타 삼중수소 핵종 방사능의 수중 현장 검출 기술을 설명했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