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양대 총여학생회장 후보로 나섰던 학생에게 차마 입에 담기 힘든 성희롱 및 인격살인 댓글이 무더기로 달려 논란이 일고 있다. SNS캡처.

 

한양대 총여학생회장 후보로 나섰던 학생에게 차마 입에 담기 힘든 성희롱 및 인격살인 댓글이 무더기로 달려 논란이 일고 있다.

한양대 총여학생회장 후보 김모(23)씨는 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비판의 수준을 넘어 성폭력·인격살인에 해당하는 악성 게시물과 댓글이 달리고 있어 모두가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양대에선 지난달 총여학생회 존폐 여부를 두고 여학우들과 남학우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오갔다.

총여학생회 폐지를 주장한 남학생들은 남학생에게 투표권을 주지 않으면서 총학생회비를 총여학생회에서 사용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총여학생회 존치를 주장하는 학생들은 총여학생회의 공약은 교내 성폭행 대응 지원 및 시험기간 여학우 안전 귀가 지원 등으로 여학우들에게 꼭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세웠다.

이번 논란에서 총여학생회 선거에 출마한 ‘리본(RE BORN)’이 내건 공약 중 ‘여학생 소모임 금전지원’, ‘여학생 전용 MT지원’이 특히 남학생들의 반발을 샀다. 총학생회비를 똑같이 부담하는데도 여성에게만 제공되는 복지가 부당하다고 남학생들이 주장하고 나선 것.

이에 대해 총여학생회 선거운동 본부는 22일 공식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학생회비는 총학생회, 장애학생인권위원회, 국제교류위원회와 같은 중앙 특별 위원회 등으로 배분된다”며 “엄밀히 따지고 보면 비장애인이 내는 돈이 장애인 복지에, 간호대생이 내는 돈이 공대생의 복지에, 한국인이 내는 돈이 외국인 유학생의 복지에 쓰이고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논란 속에서 한양대는 지난달 28~30을 투표를 진행했으나 총여학생회 선거 투표율이 40.81%에 불과해 무산될 위기에 처하자 지난 4일까지 일정을 연장했다.

하지만 지난 4일 개표 결과 총여학생회 투표율은 41.95%로 전체 유권자의 50%를 넘지 못해 결국 무산됐다. 총학생회 투표율은 이보다 훨씬 못미치는 36.45%에 그쳐 마찬가지로 무산됐다.

그러나 투표가 끝난 후에도 총여학생회 후보자와 총여학생회 후보를 도운 학생들, 지지자들을 향한 인격살인 폭언이 쏟아지고 있다.

▲ 한양대 총여학생회장 후보로 나섰던 학생에게 차마 입에 담기 힘든 성희롱 및 인격살인 댓글이 무더기로 달려 논란이 일고 있다. SNS캡처.

 

한양대 남학생들의 총여학생회 후보자를 향한 폭언 문제는 이미 앞서서도 제기된 바 있다.

투표를 앞두고 트위터에 등장한 ‘한양 남대생들 반성해라’라는 이름의 계정에는 한양대 서울캠퍼스 커뮤니티인 ‘위한’ 내 익명게시판의 스크린샷 수십 장이 게재됐다.

게재된 스크린샷 속에는 “총여학생들 죄다 성노리개로 써야된다”, “저런X들이 동문이라니 창피하다”, “김치(여성을 비하하는 말)는 땅속에 묵혀야 한다”, “밥은 굶어도 생리대는 필요하냐?”, “페미니즘은 정신병이다”, “국문과는 꼴페미 천국” 등의 발언이 가득하다.

위한의 운영 방침 상 익명게시판의 경우 한양대에 재학중이거나 졸업생, 휴학생만 이용할 수 있다.

투표가 무산된 후에도 총여학생회 후보자의 페이스북에는 “여성을 장애인과 비교해서 셀프XX화 자처했다”, “X전깨가 답인 얼굴”, “전구 톡톡 트롤픽카나”, “꼴페니 전구 톡톡톡”, “한강물 얼기 전에 자살 추천한다” 등의 인격살인 댓글이 달렸다.

특히 많이 달린 ‘X전깨’란 단어는 ‘여성의 성기에 전구를 넣고 깨겠다’는 뜻으로 여성혐오적인 표현을 넘어 인격살인과 폭력 암시가 담겨 있다.

총여학생회 후보였던 김씨는 “성폭력·인격 살인에 해당하는 댓글에 대한 법적 대응도 검토중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총여학생회 후보자를 향한 끔찍한 폭언이 공개되자 누리꾼들은 분노하고 있다.

누리꾼들은 “X전깨 옛날부터 남자들이 농담처럼 말하더라”, “한양대 남학생 수준 잘 알겠다”, “믿고 거르는 한양대”, “그래도 국내에서 명문대학인데 수준이 저것밖에 안 돼?”, “한양대 알아서 무덤 파는 것 같다”, “저런 말을 저렇게 장난으로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한국에서 남성들이 여자를 향한 폭력에 얼마나 무감각한지 보여주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디지털뉴스부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