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청년인구 유출 양상이 예사롭지 않다. 2016년 한해 동안에만 3000여명의 청년이 일자리를 찾아 서울과 부산 등지로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광역지자체와 비교해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고는 하나 자칫 청년 인구 유출이 고착화 될 경우 젊은 도시 울산의 미래를 위협할 수 있다. 사람이 곧 경쟁력인 시대다. 그 중에서도 청년인구는 교육·경제활동·혼인 및 출산 등 다양한 면에서 향후 지역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최고의 인적 자산이다. 심각한 청년 유출 문제에 직면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청년 붙잡기’에 사활을 걸고 있는데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지역사회의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감 속에 청년인구를 잡아 둘 대안이 있다면 무엇이든 할 태세다. 울산도 청년인구 유출문제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울산시는 청년 맞춤 지원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전국 광역시 중 처음 개발·분석한 청년통계를 11일 공표했다.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청년세대(82~97년생)의 주민등록, 재산세,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료, 고용보험, 건강보험 등 흩어져 있는 행정자료를 연계·분석해 작성된 것이다. 청년 세대의 인구, 주택, 일자리 의식, 고용, 건강, 복지 등 6개 분야를 분석했다. 통계에 따르면 2016년 1년간 전입한 청년 인구는 2만70명, 전출은 2만3135명으로 순유출이 3065명으로 집계됐다. 최근 3년간을 기준으로 하면 전입 청년 인구는 6만7161명, 전출은 6만8347명으로 순유출이 1186명으로 파악됐다. 주된 전입·전출 사유는 직업과 관련된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청년 인구는 25만7050명으로 전체 인구의 21.9%를 차지했다. 특·광역시 중 네 번째로 많은 비중으로 전국 평균(21.2%)보다 0.7%P 높았다.

울산시는 청년통계를 토대로 청년세대의 자립기반 마련을 위해 청년의 일할 기회 및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 청년 인재 양성 및 능력개발, 창업의 성공기반 확대, 활동 생태계 및 자립기반 조성 등 청년지원 정책 수립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하나 같이 청년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늦출 수 없는 일이지만 무엇보다 우선해야 할 것이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시민 누구나 살고 싶어하는 정주여건 조성이다. 산업화 시절,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전국의 젊은이들이 울산으로 몰려들었던 것처럼 울산이 기회의 땅이어야 한다. 산업수도, 기업도시에 걸맞게 흐트러진 지역산업 생태계를 재정비, 자유로운 투자와 생산활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행정을 비롯해 노·사, 지역정치·경제계가 힘을 합치는데서부터 다시 시작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