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산업도시다. 남구는 석유화학공장 300여개가 들어차 있는 국가산업단지가 있는 기초자치단체다. 산업단지는 불안이 상존하고 있는 지역으로 인식돼 있으므로 자치단체가 나서 국제안전도시의 공인을 추진하기는 쉽지 않다. 그런데 울산시 남구가 용감하게도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추진한지 3년여만에 공인 확정을 받았다. 서동욱 남구청장이 취임과 함께 역점적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남구는 내년 3월 국제안전도시 공인 선포식을 가질 예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수원시를 시작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서울 송파구, 부산시 등 13개 도시가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받았다. 남구와 연계해 국제안전학교 공인을 추진했던 동평초등학교도 울산에서는 처음으로 지난 14일 인증 획득을 확정받았다.

국제안전도시 공인센터(ISCCC) 데일 헨슨 의장은 지난 14~15일 실사단장으로 울산 남구를 방문한 자리에서 “7개의 공인기준 항목을 훌륭히 수행했으며 특히 손상사망률 감소와 이에 따른 경제손실액 459억원 감소 등의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했다.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하지만 막연하게 구호만 외쳐서는 소용이 없다. 그동안 남구는 안전도시조례를 제정하고 그에따라 8개 분과 103개 안전증진 프로그램을 추진해왔다. 구성원들에 적합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의한 체계적인 관리가 시작되자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실질적인 성과가 나타난 것이다.

그렇다고 남구가 안전사고가 전혀 발생해서는 안 되는 도시라고 오해해서는 안 된다. 그런 부담을 갖게 해서도 곤란하다. WHO가 인증하는 안전도시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안전한 도시를 지향하면서 사고와 손상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를 말한다. 그 결과로서 안전한 도시가 되는 것이다. 각계 각층에 적합한 국제적인 기준의 안전증진 프로그램과 손상현황조사를 통한 통계자료를 갖추는 것만으로도 안전관리의 효과는 크다. 주민들의 안전에 대한 인식제고도 삶의 질과 정주여건 향상으로 이어진다.

국제안전도시 공인은 비로소 안전도시를 향한 단단하고 커다란 디딤돌을 놓은 것이다. 앞으로 전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끌어내 점진적으로 모든 구성원들의 안전한 생활습관을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 WHO는 5년 마다 평가를 다시 한다. 재공인을 받아야 하는만큼 긴장감을 늦출 수도 없다. 혹여 뒷걸음질하는 일은 없도록 자치단체는 물론 지역주민들도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