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후와 대기오염·지진 등의 자연재해 문제가 불거지며 기상 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미세먼지와 동해안 지역에서의 연이은 지진으로 환경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큰 울산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높아지고 있는 관심에 비해 재난 대비의 시작점인 기상정보에서는 여전히 소외돼 있다. 120만 인구 규모의 광역시 수준에 걸맞지 않는 5명의 인력으로 운영되고 있는 울산기상대의 조직 규모와 역할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국가산업단지와 원전이 밀집해 있고, 재난발생빈도가 그 어느곳보다 높은 지역의 기상·지진 정보를 총괄하는 조직이라고는 믿기 어려울만큼 초라하기 때문이다.

기상청 산하에는 6개의 지방기상청(수도권, 부산, 광주, 강원, 대전, 제주)과 3개의 기상지청(대구, 전주, 청주)이 있다. 울산시는 최하위 조직인 기상대로 운영되고 있다. 광역시 가운데 사실상 유일하다. 기상분야에서의 ‘울산 홀대론’으로 연결짓지 않고서는 좀처럼 납득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울산시는 울산기상대의 기상지청 승격을 건의하는 공문을 최근 기상대와 부산지방기상청에 보냈다. 국가산업단지와 원자력발전소 밀집지역으로 복합재난의 위험성이 높은 울산에 지진과 태풍 등 재난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기상·지진 정보를 총괄하고 있는 울산기상대의 조직 규모와 역할이 너무 초라하다는 지역사회의 여론과 맞물려 있다. 반드시 관철돼야 할 지극히 당연한 요구다.

광역시인 울산은 서울보다 1.6배(서울 605㎢, 울산 1057㎢)나 넓은 면적에다 석유화학단지와 대기업 생산공장, 원자력발전소 등 국가기반 산업시설을 갖추고 있다보니 화학물질 유출, 폭발, 화재, 방사능사고, 해양오염 등 사회재난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복합재난의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그 가운데 지진과 태풍 등의 자연재난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 10월 태풍 ‘차바’가 내습하면서 3명이 숨지고, 612억원의 재산 피해가 났다. 또 울산해역에서 발생한 지진(규모 5.0)을 시작으로 바로 인접한 경주지진(규모 5.8)과 올해의 포항지진(규모 5.4)으로 700여 차례에 달하는 여진이 발생, 불안심리가 확산되면서 재난대응체계 선진화는 물론 기상(지진)정보 제공, 기상·지진 관측 인프라, 전담조직 등 기상분야의 역량강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반면 울산기상대의 조직은 갈수록 축소됐다. 2015년 10명의 인력을 7명으로, 2016 2월부터는 5명으로 줄였다. 급기야 재난 대응 취약 시간대인 평일 야간과 주말은 민간회사에 위탁·운영하는 형편에 이르렀다. 광역시 승격 20주년을 맞은 울산의 ‘기상정보’를 다루는 조직을 언제까지 이 모양으로 끌고 갈 것인지 답답하기 그지 없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