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심혈관질환

▲ 김태현 울산병원 심장내과 전문의가 병원을 찾은 환자와 상담을 하고 있다.

환절기 고혈압 환자 뇌출혈 주의
심혈관질환 예방에 보온 신경쓰고
가슴 답답하면 스텐트시술도 고려

새해가 되면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지키기 위해 등산, 마라톤, 걷기와 같은 운동하기를 마음먹는다. 하지만 고혈압 및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라면 심근경색의 전조현상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한다. 또한 급성 심근경색증은 평소에 증상이 없고, 검진에서 심전도 검사 후 정상결과가 나왔던 사람도 갑자기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겨울철 건강관리와 함께 심장컨디션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급격한 기온변화 교감·부교감신경 균형 깨뜨려

우리신체가 갑작스럽게 차가운 공기에 노출되면서 신체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교감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균형이 흐트러진다. 이때 말초동맥은 수축하면서 혈관 저항이 상승하고, 혈액 흐름이 방해받아 동맥경화로 인해 딱딱하게 변하게 된다. 동맥경화로 좁아진 혈관이 혈전으로 인해 막히게 되면서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이 급격하게 높아진다.

그리고 교감신경의 활성화로 인해 혈압이 올라가기 때문에 이로 인한 심장의 부담이 늘어난다. 특히 고혈압 환자의 경우 혈압이 갑자기 올라가 뇌출혈의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 또한 심장질환자의 경우 협심증이 악화되거나 급성심근경색이나 심장마비가 발생하기도 하며 심할 경우 대동맥 박리와 같은 혈관관련 질환의 위험도가 증가한다.

김태현 울산병원 심장내과 전문의는 “일반적으로 돌연사는 아침에 많이 일어난다. 이는 밤사이 감소된 교감신경의 작용으로 인하여 우리 몸은 이완 상태에 있다가 잠에서 깨기 시작하면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이러한 교감신경의 활성화가 심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심장질환의 주요 원인 고혈압 관리해야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소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고혈압이다. 일반적으로 혈압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여름철에는 낮은 반면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가을철부터 높아진다.

혈압이 급격하게 상승할 경우 앞서 언급했듯이 급성심근경색, 협심증, 대동맥 박리증, 심부전 등 심혈관계 질환의 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갑자기 낮아진 기온으로 인해 혈압을 상승시켜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또한 높아지기 때문에 고혈압 환자는 환절기나 추운 겨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심혈관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정기적으로 약을 먹지 않으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처방에 따라 규칙적으로 약을 먹어야 한다. 또한 오랫동안 적극적으로 약물치료를 하고 있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의료진과 상의해 다른 치료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김 전문의는 “일반적으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환자가 추운 날씨에 야외활동으로 인하여 질환이 악화되었다면 의료진과 상의 후 혈관조영술을 비롯한 심혈관계 질환검사를 즉각적으로 시행하고 스텐트시술이나 관상동맥우회술등의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며 “이러한 심혈관조영술 또는 스텐트시술은 막혀있는 혈관을 근본적으로 뚫어주는 방법으로, 계절이나 환경에 따른 증상의 악화를 사전에 막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아침 운동 삼가고 보온에 신경써야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나 심정지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추운 날씨에 새벽 운동을 피하는 것이다. 부득이하게 외출하는 경우라면 몸을 따뜻하게 감싸고 나가는 것이 심혈관질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다.

평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심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인자가 있다면 갑작스럽게 추워지는 날씨에 대비해야 한다. 특히 외출시에는 머리 부위가 가장 많이 노출돼 열손실이 크므로, 열손실 방지를 위해 모자를 착용하고 마스크, 장갑 등 방한용품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김 전문의는 “운동을 할 때도 심장에 무리를 주는 무산소 운동보다 조깅, 자전거타기와 같은 유산소운동을 자신의 운동능력에 맞게 하는 것이 좋다”며 “이러한 유산소 운동도 반드시 운동 전 10분 가량 스트레칭을 실시하여 심장이 추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운동 중 갑자기 가슴부위가 답답하거나 통증, 호흡곤란 증세 등이 나타나면 즉시 운동을 중지하고 심장전문의를 찾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우사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