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불황 동구 끝모를 추락 - (하)산업구조변화 모색해야

▲ 울산시 동구 꽃바위외국인거리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동구 산업구조, 제조업이 75%
산업구조변화에 대응할 정책과
특화된 도시기반 공간 조성해야
조선해양플랜트연구원 유치에
동구지역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
조선도시로의 재도약 동력 기대

지난 1972년 현대중공업이 미포만에 자리를 잡으면서 눈부신 발전의 역사를 써온 울산 동구가 아이러니하게 조선업 침체에 따른 현대중공업의 위기 탓에 도시 쇠퇴도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동구가 현재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나치게 높은 조선업 의존도에서 벗어나 동구만의 특징을 살린 산업구조변화를 꾀해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라는 지적이 높다.

그러나 한편에선 침체된 조선업 활성화가 결국 도시발전의 핵심요인이 될수 밖에 없다며 문재인 대통령 공약사항인 조선해양플랜트연구원의 동구지역 유치를 위한 선제적 대응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제조업 비중 70%…변화 ‘필수’

지난 2015년 기준 동구지역 산업구조는 제조업이 74.7%를 차지하는 등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도시다. 현대중공업이 미포만에 자리를 잡고나서 뒤따라 도시기반이 들어선 동구의 특성상 당연한 결과로 인식된다.

이같이 높은 제조업 의존도는 오히려 침체기가 시작된 이후 경제성장률 둔화와 서비스산업 발전이 미흡해지는 역효과를 낳게 됐다.

이에 동구청은 지난 2015년께부터 높은 제조업 의존도를 탈피하기 위해 조선산업도시에서 ‘조선해양관광도시’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이어져오고 있는 총체적 위기를 관광산업만으로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인 점도 있는 게 사실이다.

동구는 높은 제조업 의존도에서 탈피하고, 산업구조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도시공간 수요 확보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주영 울산발전연구원 박사는 “동구는 산업구조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고, 이미 개발돼있는 구역은 주거환경정비나 도시재생 등의 사업을 통해서 동구가 주력 미래먹거리로 삼고 있는 관광산업 등 특화된 도시기반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동안 단편적 기능을 해왔던 도시구조에서 탈피해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행정적 노력도 필수다”고 제언했다.

◇“그래도 조선업 활성화가 관건”

도시로 인구를 유입하기 위해서는 산업구조 다각화·고도화를 통한 정주여건 개선과 일자리 창출 등의 호재가 필수다. 하지만 동구지역은 전체 면적의 60%가 넘는 지역이 전부 녹지지역으로 분류되는 등 가용 부지에 한계가 있다.

2025 울산시도시재생전략계획 자료에 따르면 동구지역 9개 동 중 8개 동이 쇠퇴가 진행되고 있는 등 8개 행정동이 도시재생대상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해법은 역시나 ‘조선산업 활성화’에 달렸다는 지적이다. 지역사회에서 현대중공업 임단협 타결을 촉구하고 염원하는 이유도 현대중공업이 지역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데다, 주민들도 조선업이 다시 활성화되길 바라는 희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마냥 업계상황이 좋아지기만을 기다릴 수만은 없다는 점이다. 8년 연속 인구가 증가한 경남 창녕군 등 타 지자체의 사례를 참고해 좀 더 공격적인 인구 유입 등 도시 발전을 위한 행정적 지원 강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 공약사항인 조선해양플랜트연구원의 울산 설립·확정 경우를 대비해 연구원을 동구지역에 유치하기 위한 움직임 등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높다.

울산시가 정부에 조선해양플랜트 연구원 설립 유치를 건의·검토하고 정부에 꾸준히 목소리를 내는 이유도 ‘조선해양산업 재도약’이라는 명분 때문이다.

연구원이 동구에 건립되면 현대중공업과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됨은 물론 연구원을 통해 핵심원천기술 확보, 조선소는 물론 협력업체와 관련 기자재업체 기술인력 역량배양을 위한 네트워크 완성 등 조선도시 동구의 재도약을 이끄는 동력이 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정세홍기자 aqwe0812@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