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에게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받고 있다.

CNN "8·15 광복절일 가능성"…6·15 예상하는 시각도
남북정상회담 연내 성사시 역대 정부 가운데 가장 빨라
일각선 북미관계 등 변수 고려해 "넘어야 할 산 많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으로부터 평양 방문을 공식 초청받으면서 벌써부터 문 대통령의 방북 시점과 남북정상회담 개최 시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 대통령이 구체적인 언급 대신 "앞으로 여건을 만들어 성사시켜나가자"는 메시지로 화답했으나 정치권에서는 시기의 문제일 뿐 문 대통령의 방북과 남북정상회담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당장 여권 일각에서는 연내에 성사된다면 역대 정부 중 가장 빨리 남북정상회담을 하게 되는 정부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내비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청와대로 문 대통령을 예방한 자신의 여동생이자 특사인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을 통해 남북관계 개선의 의지가 담긴 친서(親書)와 함께 방북 초청 의사를 전달했다.

청와대는 아직 김 위원장의 방북 초청에 대한 명확한 수용의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그동안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온 데다 김 위원장의 이번 방북 초청으로 남북대화 국면의 물꼬가 트인 만큼 자연스럽게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특사로 방한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전달한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받은 뒤 읽고 있다.

가장 큰 변수는 미국의 입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고강도 제재를 받고 있는 상황, 특히 북핵 문제로 북미 관계의 긴장이 어느 때보다 고조된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미국과의 사전 조율 내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남북정상회담을 밀어붙이는 것도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이날 북한 대표단에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서도 북미 간에 조기 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미국과의 대화에 북한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당부한 것도 이런 역학 구도를 고려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의 핵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북핵이 미국에 위협적인 요인이므로, 북핵 문제 해결과 평화체제 구축 문제가 동시에 진행돼야 할 것"이라며 "김 위원장의 방북 요청은 의미 있다고 보이고, 미국과 잘 협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의 한 중진의원도 "남북정상회담은 북미회담과 연동해 갈 수밖에 없다"며 "미국 입장에서는 북한의 입장 변화가 없는데 '오케이'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북정상회담 개최 여부만큼이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이 바로 시기다.

김 특사는 문 대통령에게 "이른 시일 내에 평양에서 뵀으면 좋겠다"고 밝힌 상태다.

이와 관련해 미국 CNN 방송은 전날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 날짜가 광복절인 8월 15일로 잡힐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김 특사가 타고 온 북한 전용기에서 힌트를 찾으려는 분석도 있다.

김 특사를 비롯한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평양에서 인천공항까지 이동하는 데 이용한 북한 전용기의 편명이 'PRK-615'라는 점을 거론하며 남북정상회담이 오는 6월 15일을 전후로 열릴 수 있다는 추측도 나온다.

'PRK-615'는 북한을 의미하는 'PRK' 뒤에 2000년 1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렸던 6월 15일을 뜻하는 숫자 '615'를 붙인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이번에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이는 2000년과 2007년에 이어 세 번째 회담이 된다.

1차 남북정상회담은 2000년 6월 13일부터 15일까지 평양에서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에, 2차 남북정상회담은 2007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평양에서 노무현 당시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에 각각 진행했다.

만약 올해 안에 3차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역대 정부 중 가장 빨리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킨 정부로 기록될 전망이다.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는 각각 정권 출범 3년, 5년 차 때 남북정상회담을 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