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춘봉기자 사회부 차장

사물끼리 인터넷으로 연결돼 정보를 주고받는 ‘사물인터넷’ 시대가 열리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사물이 각각의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고 통신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은 그 편리함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이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분야는 원격 모니터링 기술로, 제품에 센서나 전자태그를 부착해 기업과 소비자가 물품의 배송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람의 이동과 추적에도 활용되고 있다.

울산 울주군은 다음 달부터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사회적약자 스마트 위치관리시스템’을 운영한다. 이 시스템은 CCTV와 버스정보시스템 등 이미 구축된 공공 통신망과 장비를 이용해 전자태그 소지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군은 이 시스템을 치매환자와 지적 장애인, 초등학생 등 사회적 약자들에게 적용하기로 했다.

이 시스템은 실시간 위치 파악이 가능해 태그 소지자가 취약지구에 들어가거나 위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즉시 조치가 가능하다. 스마트폰을 통해 학부모들이 어린 자녀들의 등하교 상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도 있다.

이 시스템은 지난 2014년 경남 양산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양산시는 치매환자와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들의 실종에 대비해 시스템을 구축했는데 현재 약 5000명이 혜택을 받고 있다. 양산시는 이 시스템으로 2015년 대한민국 전자정부대상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후 2016년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연계협력사업)으로 선정돼 울주군과 부산시, 김해시로 확대됐다. 다음 달부터는 생활권 내에 사는 사회적 약자 약 3만명이 혜택을 받을 예정이다.

이 시스템이 도입되면 노인 인구가 많은 울주군 지역의 안전망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치매노인이 길을 잃더라도 최종 위치파악 지점을 중심으로 수색하면 돼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 시스템에도 한계는 있다. 사업 권역이 울주군과 부산시, 김해시, 양산시로 국한돼 태그 소지자가 타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무용지물이 된다. 태그 소지자가 울주군에서 양산·부산 등지로 이동할 경우 위치 파악이 가능하지만, 정작 인접한 남구나 중구에서 실종될 경우 시스템 활용이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울산 전역에 시스템을 확대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금도 치매환자나 아동, 독거노인 등의 위급 상황 대처를 위해 민간 통신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민이 있지만, 긴급상황 발생 시 비전문가인 보호자의 적기 대응에 한계가 있다.

비용은 큰 부담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양산시는 국·도비 1억5000만원과 시비 1억9000만원 등 총 사업비 3억4000만원으로 시스템을 완성했다. 울주군의 경우 지역행복생활권 사업에 선정돼 총 사업비 3억1000만원 가운데 80%를 국비로 충당했다.

시비는 6%, 군비는 14%가 투입돼 불과 4300만원의 군비만으로 시스템을 구축했다. 새로 CCTV를 설치하고 관제센터를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공공 통신망을 활용하는 만큼 울산 전역에 확대해도 지자체들의 예산 부담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안전은 행복과 삶의 질을 평가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척도다. 사회 안전망 구축은 지자체의 의무인 만큼 적극적인 행보를 기대한다.

이춘봉기자 사회부 차장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