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일보 독자위원회(위원장 최해상) 2월 월례회가 지난달 28일 경상일보 회의실에서 열렸다. 임규동기자 photolim@ksilbo.co.kr

제15기 경상일보 독자위원회(위원장 최해상)가 지난달 28일 경상일보 회의실에서 2월 월례회를 가졌다. 이날 독자위원들은 올해 1월부터 시행된 최저시급 인상에 이어 최근 국회를 통과한 근로시간 단축 등이 울산 산업계에 미치는 여파에 대해 본보가 앞장서 보도해주기를 당부했다. 또한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 발전을 위한 주제들을 이슈화해 후보자들의 공약에 반영될 수 있도록 힘써달라고 했다.

영세근로자 임금 보전방안 관심을

◇최해상 위원장(민주평통 울산남구협의회장)=근로시간 단축은 지역의 기업들에게는 굉장히 예민한 문제다. 최저시급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의 여파로 지역 산업계 일각에서는 내년에 (최저임금이 1만원으로 인상되면)울산지역 중소기업의 절반은 문을 닫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특히 근로시간 단축은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게는 임금손실이 커 생계문제로 대두될수 있는만큼 영세근로자들의 임금보전방안에 대해 관심을 가져달라. 또 지역 산업계가 새로운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경상일보가 관련 이슈에 대한 심층적인 보도를 담당해주길 바란다.

장기발전 위해 신성장동력 필요

◇민경민 위원(LS니꼬동제련 이사)=제조업 중심으로 발전한 울산은 장기적으로 볼때 전통적인 산업들이 쇠퇴하고 있다. 산업도시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긴 호흡을 가지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해야 한다. 향후 10년에서 20년을 대비하는 새로운 성장동력과 어젠다를 찾아야 할 때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지방선거는 좋은 기회다. 울산의 장기적인 발전을 이끌 수 있는 어젠다를 발굴해 후보자들의 선거공약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경상일보가 앞장서 주길 바란다.

문화인프라 관련된 공약 제안 원해

◇박상언 위원(울산문화재단 대표이사)=문화계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후보자들의 진영에서 문화 인프라와 관련된 공약들이 보다 많이 나오길 바란다. 특히 새로운 예산이 들어가는 사업들은 임기 중에는 추진하기 어렵고, 선거공약으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울산의 경제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문화 인프라 확충을 위해 경상일보가 울산 문화계의 전반적인 상황을 점검하고 그와 관련된 공약을 제안한다면 좋을 것 같다.

외국 사례 도입해 대형참사 막아야

◇이승억 위원(UNIST 상임감사)=최근들어 대형화재와 같은 참사가 자주 일어나는데 울산에도 석유화학단지 등 공단이 밀집해 사고우려에 대한 걱정이 많다. 이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위험요소 프로파일 프로젝트 개발사례를 울산에 적용해 보면 어떨까 한다. 암스테르담은 유럽의 최대 오일환적항구로 세계적인 문화유적지들이 많이 있어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모바일 통신, 인터넷, 소셜미디어, IoT(사물인터넷) 등의 장치를 통해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해 이를 저장하고 분석해 보다 정확한 사고예측 또는 재난대응으로 사고율을 낮출 수 있다.

잇단 시설물사고 철저한 예방 필요

◇신명준 위원(대한건설협회 기획위원)=최근 들어 대형화재와 더불어 각종 시설물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봄이 오면서 날씨가 풀리면 겨울철 엉켜있던 흙들이 녹으면서 안전사고 발생이 더욱 많아진다. 사고예방 차원에서 시설물 점검이 철저히 이뤄질 수 있도록 경상일보가 관련 보도를 해주길 바란다. 또 LH가 울주군 굴화리 인근 태화강변에 1800여가구 규모의 공공주택을 건립한다고 하는데 생각해볼 문제가 있다. 태화강은 울산시민 모두의 휴식처와 같은 곳인데 그곳에 아파트를 짓는다면 다른 시민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도 있다.

굴화 강변 공공주택 건립 심층취재

◇추성태 본보 편집국장=LH가 울주군 굴화리 태화강변에 1800여가구 공공주택을 짓는 것에 후속취재를 심층적으로 하고있다. 영세인들의 주거복지와 주택공급도 좋지만 왜 하필 태화강변인가에 대해서는 일각의 반발이 크다. 만일 위치선정 과정에서 조성비용과 분양성이 최우선으로 고려됐다면 ‘땅짚고 헤엄치기식’의 공기업의 수익사업 행태와 도덕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본다. 태화강 스카이라인도 중요한 가치고 특히 태화강은 사업자와 입주자만을 위한 것이 아닌 시민모두가 공유해야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정리=이우사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