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봉출 사회부 기자

제7회 전국동시 지방선거인 ‘6·13 지방선거’가 10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울산지역 교육수장을 뽑는 교육감 선거 분위기도 서서히 달아오르고 있다. 울산은 다른 지역과는 달리 무려 7명의 예비후보가 등록했다. 교육감과 교육위원장, 교육국장, 교원노조 위원장 출신, 대학교수 등이 각각 보수, 진보, 중도로 대결 구도를 펼치고 있다.

보수 진영에서는 김석기 전 교육감과 권오영 전 울산시교육위원장, 박흥수 전 울산시교육청 교육국장이 나섰다. 김 전 교육감은 1대와 4대 2차례 교육감을 지냈지만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모두 중도 낙마했다. 권 전 울산시교육위원장은 지난 2014년 교육감 선거에 낙선한 뒤 두번째 출마했다. 박 전 교육국장은 36년 교직생활에서 퇴직한 뒤 이번에 처음 교육감 선거에 참여했다.

진보 진영에는 노옥희 전 울산시교육위원, 정찬모 전 울산시교육위원장이 나서 교육감 선거에 도전하고 있다. 중도 성향으로 구광렬 울산대 교수가 보수도 진보도 아닌 순수교육을 표방하고 있고, 장평규 전 울산교원노조 위원장도 진보와 보수 어느 쪽도 아닌 교육 혁신을 이뤄내겠다며 교육감 선거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들 후보들은 일찌감치 정책 공약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얼굴 알리기에 나서고 있다.

교육감 선거는 다른 선거에 비해 시민들의 관심이 낮아 유권자들이 교육감 후보자를 잘 모르고 투표하는 경향이 있어 깜깜이 선거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교육감이 유치원, 초·중등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울산지역은 김복만 전 교육감의 비리로 교육감 권한대행이라는 비상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공교육 활성화 등 변화될 교육정책에 대비해 나가야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7대까지 울산교육감은 김복만 전 교육감을 비롯해 모두 3대 교육감이 비리혐의 등으로 구속되거나 하차했다. ‘백년지대계’라 불리는 교육. 이번 교육감 선거에 유권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자명하다. 미래를 내다보지 못하는 후보를 선택해 잘못된 결과를 다시 초래한다면 그 책임도 유권자들의 몫임을 알아야 한다.

김봉출 사회부 기자 kbc78@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