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남구도 국제안전도시가 됐다. 2014년 11월부터 3년여간의 노력 끝에 드디어 WHO의 인증을 받아 6일 공인선포식을 가졌다. 국내에서 16번째다. 세계적으로는 395개의 도시가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받았다. 불안이 상존하고 있는 산업도시에서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받았다는 것만으로도 주민들의 정주의식 향상이 기대된다. 울산 남구는 석유화학공장이 300여개나 있는 석유화학공단을 끼고 있는 도시가 아닌가. 게다가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유흥주점 밀집지역이다. 이런 환경에서 WHO 국제안전도시 공인센터(ISCCC)가 요구하는 7개의 공인기준을 모두 수행했다는 사실은 놀랍다고 할만하다.

남구는 2015년 안전도시 조례를 제정한 이후 안전도시실무협의회를 구성, 산업안전, 학교안전, 생활안전 등 8개 분야 103개에 달하는 안전증진프로그램을 추진했다. 이날 선포식에도 참석한 데일 헨슨 ISCCC 의장은 지난해 12월 실사에서 “7개의 공인기준 항목을 훌륭히 수행했으며 특히 손상사망률 감소와 이에 따른 경제손실액 459억원 감소 등의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국제안전도시 인증은 완성이 아니라 시작이다. WHO는 안전도시를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안전한 도시를 지향하면서 사고와 손상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라고 정의해놓고 있다. 안전한 도시가 되기 위한 기본을 마련한 것으로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뜻이다. 국제적 기준의 시스템을 갖추었기 때문에 주민들의 동참만 이끌어내면 해를 거듭할 수록 점점 안전한 도시가 되어가는 것은 어렵지 않다. 주민들의 안전도시에 대한 인식과 동참이 관건이다. 5년후 재공인을 받도록 돼 있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국제안전도시는 인증 자체가 목표일 수는 없다. 강력한 의지로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추진한 서동욱 남구청장도 이날 선포식에서 “새로운 출발을 약속하는 자리”라며 “자부심을 갖고 안전증진을 위해 역량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주민들의 체감과 실질적인 안전이라는 목적지를 향해 다시 새출발해야 한다. 8개 분야 103개의 안전증진프로그램을 주민 모두가 인지하고 함께 노력해나가도록 하는데 행정력을 더욱 집중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안전이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인 시대를 살고 있다. 각종 재해의 위험이 언제 닥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상존해 있는 사회다. 주민이 체감하지 못한다면 지난 3년간의 노력도, 국제안전도시 인증도 결국 무의미한 것이 되고 만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