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중인 원전해체연구소 유치를 놓고 울산·부산·경북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울산시가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전략방안 중 하나로 원전해체기술개발과 관련산업 육성에 행정력을 결집하고 있다. 미래먹거리로 인식되고 있는 원전해체산업 선점을 위해서는 기술력 확보가 최우선으로, 원전해체연구소가 그 시발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전해체와 관련된 전국 최고 수준의 산학연 인프라를 강점으로 꼽고 있는 울산이다. 원전해체센터의 실증·산업화 역량과 연계된 산업인프라와 인적자원이 전국 최고수준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또 석유화학, 플랜트산업의 원전해체 기술 관련 기업이 1000개 이상 소재하고, UNIST(울산과학기술원)와 KINGS(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등 우수한 전문교육기관이 입지해 산학연 협업, 실증화 연구가 가능하다. 이는 곧 원전해체연구소와 결합, 곧 바로 원전해체산업 생태계 구축으로 이어질 수 있고, 가장 빠른 시간안에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전해체연구소가 반드시 울산에 유치돼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울산시는 앞서 원전해체연구소 유치기획 TF를 구성, 지난해부터 원전해체산업 생태계 활성화 사업을 추진해 왔다. 울산테크노파크가 주관하고 유니스트, 한국원전해체기술협회가 참여, 원전해체 관련 산업 네트워크 강화와 원전해체 기술·지역 중소기업 보유 기술 매칭 데이터베이스 구축, 지역 기업 기술역량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또 또 원자력기술 기초·원천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 원전해체 핵심요소기술 원천기반 연구센터 사업을 유치해 2017년부터 5년간 울산시 5억원, 울주군 5억원 총 1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더불어 유치의 필수 조건인 3만3000㎡ 규모의 부지와 47만명에 달하는 서명으로 주민수용성을 일찌감치 확보, 범 시민적 동의를 통해 국내 원전해체산업을 주도할 준비가 돼 있다. 그야말로 원전해체연구소 유치를 위한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는 울산의 요구에 빠르면서도, 냉철한 정부의 판단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