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 타결로 인한 타격이 울산 지역경제에 적지 않게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부가 미국과의 협상과정에서 울산지역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자동차 산업을 희생양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개정안은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산 픽업트럭에 대한 관세 부과를 20년간 연장하고, 국내 기준에 맞지 않아도 미국 기준만 충족하면 수입을 허용하는 수입 할당량을 2만5000대에서 5만대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로인해 현재 20%에 육박하는 수입차 점유율이 더 높아지면서 국내 메이커들의 입지는 더욱 축소될 전망이다.

가뜩이나 생산·수출·내수 감소에다 통상임금, 최저임금과 근로시간 감축 등 5중고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국내 완성차 업계다. 국내 생산이 2년 연속 줄어들면서 2016년 국가별 자동차 생산량 순위에서 인도에 밀려 6위로 떨어진 상태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 크게 의존해 온 지역경제 또한 악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걱정이 적지 않다. 조선 등 주력산업의 수출경쟁력 약화로 경제 전반에 활력을 잃고 있는 울산의 경제 상황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산업수도’ 울산경제는 수년째 방향타를 잃은 채 표류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돼 온 수출경쟁력 약화로 저성장의 늪에 빠진지 오래다. 한국경제가 살아나고 있는 가운데서도 울산은 생산, 수출, 소비, 투자, 고용 등 경제지표가 뒷걸음질치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인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달 말까지 22개월 연속 감소했고, 탈울산 행렬은 26개월째 지속되고 있다.

산업기반 약화조짐도 보이고 있다. 울산을 찾는 신규 투자자의 발길이 뜸하다. 높은 지가와 노사문제를 피해 지역 주요 기업들도 신규 공장을 울산에 지으려 하지 않는다. 상당수의 대기업들은 일찌감치 해외로 발길을 돌린 상태다. 중견기업의 몰락도 이어지고 있다. 그나마 대규모 장치산업으로 생산시설을 집중, 효율성을 높여야 하는 정유·석유화학업종이 신·증설에 나서고 있는 것을 위안으로 삼아야 할 지경이다. 미래성장잠재력을 점쳐 볼 기반시설 투자 또한 정부의 외면으로 번번히 좌절되고 있는 울산의 앞날이 어찌될지 고민만 거듭된다. ‘울산의 위기’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미중 무역전쟁의 직접적인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중국에 중간재를 대량 공급해 온 한국의 대중수출이 20%나 급감, 전체 수출액의 5%가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데, 울산 주력산업인 자동차와 유화가 포함돼 있다. 기우에 그치길 바랄뿐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