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이 전국 8대 특별·광역시중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편의시설 등이 가장 불편한 도시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국토교통부의 ‘2017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다. 교통약자들이 그만큼 이동하기에 불편하고, 살기 힘든 지역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7위 세종시에 이어 꼴찌를 차지한 울산시는 여객시설 주변 보행환경 기준적합 설치율, 저상버스 보급률 등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광주, 대구를 제치고 5위를 차지했던 2016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보다도 후퇴했다. 당시에도 여객시설 주변 접근로 보행환경, 저상버스보급률 등에서 최하위권을 차지,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됐다.

반면 서울특별시의 교통복지수준은 보행환경, 저상버스 보급률, 교통복지행정 등에서의 높은 평가를 받아 1위를 차지했다. 국토교통부는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편의시설의 기준적합률, 저상버스와 특별교통수단 보급률, 교통약자 관련 사고, 교통복지행정 수준 등 9개 교통복지지표를 토대로 지자체별 교통복지수준을 평가하고 있다. 즉 서울이 교통약자들의 이동에 가장 편리한 곳이라는 말이다. 울산의 교통약자들로서는 부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사람, 어린이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교통약자는 2017년말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28.9%인 1496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4명중 1명 이상으로 2016년에 비해 25만명 가량 증가한 수치다. 울산은 총 인구 116만여명의 26%인 30만여명에 이르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울산지역 교통약자들이 느끼는 체감 교통복지수준이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국토부가 실태조사에 나선 2010년부터 매번 하위권을 맴돌다 급기야는 꼴찌수준으로 추락한데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특히 장애인들이 휠체어를 탄 채 다른 사람 도움없이 편리하게 오를 수 있도록 차체 바닥이 낮고 출입구에 경사판이 설치된 저상버스 보급률은 오히려 퇴보하고 있다. 울산지역 저상버스 보급률은 2010년 3위, 2012년 4위, 2014년 6위, 2017년 7위로 매년 순위가 하락했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 제정(2005년) 이후 울산시가 기본계획 수립, 조례 제정, 위원회 구성 등 절차를 거쳐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는 설명이 무색할 지경이다. 언제까지 울산이 교통약자에 불편한 최악의 도시로 남아 있을 것인지 묻고 싶다. 지금부터라도 미흡한 사항에 대해 보완계획을 수립,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