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이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의 최적지라는 연구용역 보고서가 나왔다. 서울대 박군철 교수팀은 “입지 여건, 원전해체 산업·연구·교육 인프라, 지역산업과의 연계성,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도, 기술적 연계성, 정책적 측면, 사회적 측면, 파급효과 등 8개 분야에서 울산이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의 최적지로 입증됐다”고 밝혔다. 또 “입지 여건 측면에서 울산은 항공·철도·도로를 이용한 접근성이 뛰어나고, 원전 밀집지역(경주-울산-부산)의 중심에 있어 원전해체 클러스터 구축이 용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울산시가 발주했다고는 하나 서울대학교 용역팀에 의한 의미있는 결과로, 원전해체연구소가 울산에 유치돼야 할 객관적 당위성 확보 자료로 삼을만 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울산에는 국내 최고 수준의 원전해체 연구·교육·산업 인프라인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UNIST, 울산대 등이 몰려 있어 협동연구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특히 울산에 첨단화된 120여 개의 화학 소재 기업이 있어 원전해체 원천기술 확보와 실증화가 용이하다. 고리와 신고리, 월성 등 울산과 인접한 원전단지에는 모든 국내 원전모델들이 가동 중이어서 모델별 해체기술 확보가 용이하고 울산대, 현대중공업, 수산이앤에스 등 해체기술 역량을 갖춘 기업·대학·연구소도 몰려 있어 산학연 기술 연계도 가능하다. 원전해체와 관련된 전국 최고 수준의 산학연 인프라를 다시 한번 확인한 것이다. 울산은 원전해체산업을 가장 빠른 시간안에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신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도시임이 분명하다.

울산은 국내 해체예정·가동·건설 중인 원전 16기의 방사선비상계획구역(반경 30㎞)내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고리원전이 있는 부산이나 월성원전이 있는 경북보다 원자력과 관련한 수혜가 거의 없다. 때문에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도 원전해체연구소를 울산에 유치해야 한다는 것이 용역보고서의 주장이다.

원전해체연구소가 울산에 있어야 하는 이유가 차고 넘친다. 원전해체기술개발과 관련산업 육성에 힘써 온 과정만 들여다봐도 알 수 있다. 울산시는 일찌감치 원전해체연구소 유치기획 TF를 구성, 원전해체산업 생태계 활성화 사업을 추진해왔다. 또 울산테크노파크, 유니스트, 한국원전해체기술협회가 참여해 원전해체 관련 산업 네트워크 강화와 원전해체 기술·지역 중소기업 보유 기술 매칭 데이터베이스 구축, 지역 기업 기술역량 강화에도 힘을 쏟아 왔다. 유치의 필수 조건인 부지와 주민수용성도 범 시민적 서명운동을 통해 확보해 놓고 있다. 정부의 합리적 결정이 있을 것이라 믿는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