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수도 울산에서 일자리를 찾지 못해 놀고 있는 사람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조선 등 주력산업 부진 여파로 제조업 취업자 수는 줄어들고 실업자는 증가하는 고용한파가 몰아치고 있다. ‘울산에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경우는 몸이 아프거나 근로의욕이 없기 때문’이라는 지난 날의 말이 무색할 지경이다. 글로벌 경기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경제구조상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면서도 울산의 일자리 부족사태가 과연 주력산업의 부진에만 기인한 것인지에는 적지 않은 의구심이 든다. 오히려 전반적으로 약화되고 있는 기업경영의지와 창업열기가 근본원인은 아닌지 따져봐야 할 것이다.

11일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3월 울산지역 고용동향’에 따르면 울산의 실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4000명(17.8%) 급증한 2만7000명을 기록했다. 특히 남자 실업자가 7000명(52.0%) 불어났다. 월간단위로는 1999년 8월(2만8000명) 이후 19년만에 최대 규모의 실업자가 발생한 셈이다. 실업자 증가는 23개월 연속 줄어든 제조업(광공업) 일자리 감소의 영향이 컸다. 제조업 일자리는 전년 동월 대비 1만명(-5.0%) 감소해 지역 주력산업의 일자리 감소현상이 여전히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도소매·음식숙박업 취업자도 6000명(-5.3%) 감소했다. 조선업황 부진으로 수주절벽·일감절벽에 직면한 조선업계의 구조조정이 진행중인 것을 감안하면 향후 실업자와 실업률은 더욱 치솟을 것으로 우려된다.

더 큰 문제는 울산의 중소·중견기업들 중에서는 주력사업을 키우고, 외연을 넓히기 보다는 현상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소리가 심심찮게 들려오고 있다는 것이다. 대기업들도 더 이상의 투자를 기피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각에서는 기업활동을 옥죄는 각종 규제와 세금, 늘어나는 인건비 등 부담금을 생각하면 기업을 정리하고 싶지만 그럴 수 없는 현실적 어려움 때문에 울며겨자 먹기로 경영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극히 일부이기는 하지만 본업은 뒷전이고, 부동산 투자로 방향을 돌리기도 한다.

정부가 울산 동구를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하고, 울산시와 각 지자체가 구조조정에 따른 ‘퇴직자맞춤형 일자리 창출’ 정책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그 어떠한 것도 기업이 만들어내는 일자리에는 미치지 못한다. 좋은 기업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든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세금을 투입해 만드는 일자리와는 격이 다르다. 제조업으로 오늘의 산업수도를 이룬 울산형 일자리 창출은 창업과 기업경영의지를 부추기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지금부터라도 울산에서 기업활동의 걸림돌이 무엇인지 찬찬히 따져볼 일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