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수준의 미세먼지 공포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전국 각 지자체의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다.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효과적이고 근본적인 미세먼지 저감대책에 대한 고심이다. 지자체별로 다양한 아이디어와 정책을 내놓고 있으며 일부는 시행중에 있다. 이웃 중국의 탓으로만 돌리는 예전의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지역 환경 자체를 바꿔 시민안전을 지켜야 한다는 각성과 절박감에서 비롯된 것이다. 서울, 경기 등 전국 지자체와 더불어 적지 않은 미세먼지에 시달리고 있는 울산도 국가 차원의 대책에 발맞춘 지역맞춤형 미세먼지 저감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미세먼지관리에 고심해 온 충청북도 청주시는 지난해 기준 54.3㎍/㎥의 미세먼지 농도를 2025년까지 45㎍/㎥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4개 분야 18개 과제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특별대책을 마련, 추진하고 있다. 대전시도 대기오염 통합 예·경보관리시스템을 도입, 미세먼지 피해 최소화에 나서고 있으며 경기도는 인공증우를 활용해 미세먼지 잡기에 돌입했다. 인공증우란 구름에 인위적으로 영향을 줘 비를 내리게 하는 방법이다. 서울시 또한 미세먼지 저감 10대 대책을 마련하는 등 국내·국제공조까지 검토하고 있다. 효과적이면서도 다양한 미세먼지 저감대책이 전국적으로 실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미세먼지는 여러가지 복합한 성분을 가진 대기중 부유물질을 말한다. 자동차의 배기가스, 도로주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담배연기나 연료의 연소시에 생성되는 초미세먼지가 있다. 전국 최대 규모의 석유화학공단과 비철금속 공단이 있는 울산과는 떼놓을 수 없는 것들이다. 1986년 ‘대기보전환경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 대기질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꼽아 왔지만 봄철마다 미세먼지에 시달리기는 매 한가지다. 실제로 환경부 에어코리아에 따르면 15일 오후 3시 기준 울산의 미세먼지(PM­10) 평균 농도는 208㎍/㎥로 매우 나쁨 수준으로 나타났다. 앞서 오전 11시께는 울산 전역에 미세먼지 주의보가 내려졌다.

울산에 미세먼지 주의보가 내려진 건 올해 들어 세 번째다. 미세먼지 주의보는 미세먼지 평균 농도가 150㎍/㎥ 이상인 상태가 2시간 이상 지속될 때 발령된다. 지난 3월1일부터 ‘2018년 미세먼지 저감활동’을 강력추진해 온 울산시의 노력이 무색할 지경이다. 시는 5개 구·군, 사업장(1740)과 합동으로 내달 31일까지 미세먼지 주의 특별강조기간을 운영하고, 연중 추진 중인 ‘민·관 합동 도로변 재비산먼지 제거대책’ 및 ‘민·관합동 사업장 주변 재비산먼지 저감 실천 운동’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단기대책이 아닌 울산형 미세먼지 대책을 기대하는 것이 과연 무리일까.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