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자 수색 초동 대응 중요…“인력충원 없으면 ’반짝 성과‘ 그칠 것”

“동생을 찾기 위해 숱한 노력을 했으나 도저히 찾을 수 없었습니다. 죽은 것으로 생각하고 체념한 채 살고 있었는데 이렇게 다시 보게 돼 너무 기쁩니다.”

경남 창원서부경찰서는 지난 8일 지적장애 2급 A(35) 씨를 찾아 가족 품으로 돌려보냈다.

1999년 12월 실종신고가 접수된 뒤 19년 만이다.

경찰은 생년월일은 다르지만 이름이 같고 실종일과 비슷한 시기에 입소한 보호시설 수용자들을 프로파일링하던 중 울산 울주군 소재 보호시설에서 A 씨를 찾았다.

덕분에 A 씨의 친누나 2명은 보호시설에 있는 동생과 극적으로 상봉했다.

A 씨 발견은 경찰청이 지난 1월 지방경찰청에 실종전담팀을 신설하고 운영해 거둔 성과다.

경찰청은 1년 이상 장기실종사건을 담당 경찰서에서 지방경찰청의 실종전담팀으로 이관했다.

지방경찰청은 그간 진행된 수사 내용과 관련 자료를 프로파일링 시스템으로 공유하게 했다.

특히 경찰청은 무연고자 정보도 취합하고 각 지방경찰청으로 배포해 수색과 수사에 활용토록 하는 등 효율을 높였다.

경찰청은 수많은 발생사건에 즉시 대응해야 하는 일선 경찰서보다 업무 집중도가 높은 지방경찰청 단위에서 장기실종사건을 다루는 것이 효율성 측면에서 낫다고 판단한 것이다.

경찰청의 이런 판단은 적중했다.

그동안 미해결로 남은 장기실종·가출자가 잇따라 발견됐다.

몇몇 사례를 살펴보면 2008년 추석 형에게서 ‘취직도 못 하고 빈둥거리느냐’는 말을 듣고 ‘성공해서 돌아오면 될 거 아니냐’며 가출한 최모(39) 씨는 최근 창원에서 일용직 노동일을 하며 사는 게 확인됐다.

또 종교적 견해 차이로 부모님과 갈등을 빚다 고시텔에서 생활하며 서울의 한 교회를 다니던 40대 여성의 소재가 13년 만에 파악되기도 했다.

집중수사 기간으로 전한 지난 2월부터 최근까지 경남 경찰은 25건의 장기실종 사건 가운데 4건을 해결했다.

실종자 수색의 경우 시간이 흐를수록 더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면 ‘괜찮은 성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러나 경찰 내부에서는 단기성 반짝 성과에 만족하기보단 인력충원 등 중·장기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현재 실종전담팀은 각 부서에서 차출한 인원으로 운영된다.

시간이 흘러 이들 인원이 원래 부서로 돌아갈 경우 초기 대응이 중요한 실종자 수사에 힘이 빠질 수밖에 없다.

올해 경남지역 실종·가출자의 82.6%가 신고 24시간 이내에 발견됐을 정도로 실종자 사건은 경찰의 발 빠른 대응이 중요하다.

또 장애인이나 미성년자 실종이 장기화할 경우 강력범죄에 노출되거나 사고 등으로 숨질 확률도 커진다. 

경찰의 미숙한 대처로 사회적 질타를 받은 ‘이영학 사건’의 사례만 보더라도 실종 사건에 있어 경찰의 초기 대응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 수 있다.·

경찰 관계자는 “전담팀으로 차출한 인원이 경남에서 약 41명 정도인데 정식 증원이 아니어서 언젠가 원래 부서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며 “실종자 사건 수요에 맞춰 인력을 충원해야 꾸준한 성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매년 본청에 인력을 충원해달라고 요청하고 있으나 잘 이뤄지지 않는다”며 “지금 충원된 41명이라도 꾸준히 실종 사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조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