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김하기 / 그림 이상열

 

광개토태왕이 국내성 대고전 침전에서 승하하자 모두들 좌정입적한 광개토태왕의 주검 앞에끓어 엎드려 소리내어 울었다.

울음이 잦아들자 장화왕후가 가장 먼저 한 일은 침전으로 호위무사를 불러 꺽감을 죽이는 것이었다. 대가야 박지 집사와 구야왕의 후견인인 장화왕후는 하지왕을 대가야의 왕으로 인정할 수 없었다. 그 어미 소후 여옥은 태왕의 총애를 독점해 밤마다 왕후는 쓸쓸한 침전에서 잠 못 이루며 질투의 눈을 밝히게 한 원수였다. 더욱이 꺽감이 자신의 아들 거련과 지혜와 무예를 겨루어 이겨 태왕의 사랑을 받을 때는 왕후의 가슴은 숯처럼 새카맣게 타들어가는 듯했다. ‘그 때 꺽감과 소후를 죽였어야 했다.’ 모자를 역적으로 몰아 죽일 기회도 있었지만 마지막에 태왕이 변심하는 바람에 물거품이 되었다.

‘이번에는 기어코 요절을 내리라. 감히 꺽감, 깜도 안 되는 네 놈이 임종의 자리에 비집고 들어와 태왕을 아버지라고 부르며 대가야왕의 책봉을 받아내?’

장화왕후는 침전으로 불러들인 호위무사들에게 명했다.

“거룩한 대고전을 무단으로 침입해 더럽힌 저 두 가야 놈을 당장 베어랏!”

중신들도 덩달아 ‘거룩한 곳을 침범한 두 놈을 죽여라!’고 소리쳤다.

호위무사들이 재빨리 칼을 빼어 두 사람을 베러 들었다.

그러자 구투야가 하지왕을 구석으로 몰고는 사설도를 꺼내들고 거련 태자를 인질로 잡았다. 구투야는 뒤에서 거련의 멱살을 잡고 거꾸로 칼을 잡고 목을 겨눈 채 말했다.

“물러서라. 다가오면 너희들의 새 왕이 죽는다!”

구투야는 고리눈을 번뜩이며 소리쳤다.

“대왕이 눈을 감자마자 우리를 죽이려하는가! 대왕의 유언이 아니꼽더냐. 이것이 천하를 제패한 고구려의 비열한 행토란 말인가!”

“저, 저, 저놈이 우리 새 폐하를.”

중신들은 입도 제대로 떼지 못하고 손가락질 하고 있었다. 호위무사들도 거련태자를 인질로 잡은 구투야를 베지 못하고 칼만 흔들고 있었다. 의외의 사태에 놀란 장화왕후도 말문을 열지 못하고 멈칫거리고 있었다.

구투야는 사설도를 움켜쥐고 거련의 목을 찌를 듯 말했다.

“이 칼은 맹독을 발라 조금만 찔러도 절명한다. 나의 부모와 처자는 너희 고구려 광개토군에 의해 멸족 당했다.”

고리눈에 창대수염을 한 거구의 구투야는 악귀들로부터 사찰을 지키는 무시무시한 사천왕처럼 보였다. 구투야는 집안이 몰살당하자 검바람재의 산적 두목이 되어 광개토대왕과 세상을 원망하며 술과 투전으로 살았다. 길목을 지키다 지나가는 사람들의 괴나리봇짐을 털어 돈냥이라도 생기면 곧바로 투전을 하고 술을 마셨다. 투전판에서 재미를 못 보면 쌈박질을 벌여 화를 풀곤 했다. 그러나 금관가야 이시품왕으로부터 사설도와 암살지령을 받은 뒤 오로지 가문의 원수 태왕을 죽일 일념을 품고 지금까지 살아왔다. 하지왕을 만나 잠시 따라다녔으나 이제 그 한을 풀 천시를 얻은 것이다.

 

우리말 어원연구

더냐. 【S】dhiya(디야), 【E】think.

(본보 소설삽화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