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선임기자
‘작은 날개로/길을 다 지우고 가 버려서/그가 떠난 뒤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가지 위에 떨림 하나/그것도 잠깐만에 사라졌다/그의 삶/不立文字/황홀한/鳥道……‘鳥道’전문(이성선)

허공에 새가 날아가듯 흔적을 남기지 말라. 무심이란 마음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두지 않는 것. 이성선은 마음을 한 곳에 두지 않는 새의 길을 노래했다(應無所住而生基心 응무소주 이생기심).

‘…하늘에 있으면 비익조가 되기를 원하고(在天願作比翼鳥 재천원작비익조) 땅에 있으면 연리지가 되기를 원하였다오(在地願爲連理枝 재지원위연리지)/하늘과 땅은 장구하나 그 끝이 있지만(天長地久有時盡 천장지구유시진)/이 한은 끊길 날 없으리라(此恨綿綿無絶期 차한면면무절기)’

장한가(長恨歌)는 당나라 때 백거이가 지었다. 현종과 양귀비와의 사랑을 노래한 이 시의 새(比翼鳥)는 암수가 눈이 한개씩밖에 없어서 눈을 합쳐야 날 수 있다. 또 연리지(連理枝)는 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엉겨 하나가 됐다. 현종과 양귀비는 일심동체를 꿈꾸었다. 그러나 백거이는 ‘하늘과 땅이 영원할 것 같지만(天長地久) 그 또한 다함이 있네…’라고 양귀비의 무상을 노래했다.

최근 태화강대공원에 꽃이 만발했다. 이 중에서 양귀비꽃은 그 선혈 같은 고혹적인 매력으로 많은 시민들의 발길을 끌고 있다. 양귀비꽃 외에 수레국화도 있다. 수레는 불교에서 ‘법륜(法輪)’을 이른다. 진리의 수레바퀴를 굴려 대중들을 교화하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이 태화강대공원 수레국화밭에 소복소복 담겼다.

이 가운데 연꽃은 비로자나부처님의 세계(蓮花藏 연화장)를 간직한 신비한 꽃이다. 보살들은 여러가지 꽃으로 부처님의 세계를 장식(雜華嚴飾 잡화엄식)하는데 그 요체가 화엄경(華嚴經)이다. 화엄경에는 그물코마다 보배 구슬이 박혀 있고 거기에서 나오는 빛들이 무수히 서로 비추며 신비한 세계를 만들어 낸다. 이른바 ‘인드라’망 이다. 이 망 때문에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겨나면 저것이 생겨난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 이것이 스러지면 저것이 스러진다’는 상호원리가 성립한다.

오늘은 불기 2562년이다. 꽃이 만개한 태화강변에 화엄의 세계가 장관이다. 이재명 선임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