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이면 사실상 투표가 시작된다. 8~9일(금~토)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재선거의 사전투표일이다. 공휴일인 선거일(6월13일)에는 나들이 등의 계획을 세워놓고 투표는 사전투표일에 하는 유권자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3년 사전투표제가 도입된 후 사전투표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2014년 6·4지방선거에서는 11.49%,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12.19%, 2017년 19대 대통령선거에서는 26.06%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국민의 관심이 남북문제에 집중된데다 이미 판세가 기울었다는 예상에 따라 지방선거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이 낮아 투표율이 높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사전투표도 그만큼 저조할 가능성이 크다.

여론의 추이를 짐작하기 어려운 ‘깜깜이’ 기간도 시작됐다. 7일부터 선거 당일까진 이 시기에 조사한 여론조사를 공개해서는 안 된다. 물론 여론조사를 하더라도 공개하지 않으면 무방하므로 각 선거캠프의 참고용 조사는 이어질 것이다. 이 기간 이전에 실시한 여론조사를 인용해서 공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선거일이 가까워지면서 난데없이 등장하는 의외의 변수가 여론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일반 유권자가 짐작하기는 쉽지 않다. 부동층도 이제 표심을 결정해야 할 시점이라는 말이다.

아파트 우편함에는 상당수의 선거공보물이 아직도 꽂혀 있다. 배달된 지 3~4일이 지난 우편물이 유권자의 손에 전달되지 않고 그대로 우편함에 남아 있는 것은 선거에 대한 무관심을 대변해준다고 할 수 있다. 주차장이 지하에 있는 아파트에 사는 주민들은 1층 우편함의 우편물을 챙기려면 일부러 들러야 하는 불편이 있긴 하지만 선거공보물을 챙겨보는 것은 유권자로서의 기본적인 책무다. 사실상 7~8명이나 되는 후보들의 면면을 공보물을 안 보고도 알기는 어렵다. 그나마 단체장이나 국회의원 후보는 언론보도를 통해 접할 기회가 많지만 후보가 유난히 많은 교육감 후보나 시·구·군의원들에 대한 정보는 공보물이 유일한 자료라고도 할 수 있다.

두툼한 공보물에는 충분하지는 않지만 후보자를 이해하는 기본정보가 들어 있다. 인적사항, 재산상황 및 병력사항, 최근 5년간 세금 납부·체납실적 및 전과기록 등 기본정보를 비롯해 후보자가 살아온 길과 당선 후 하고자 하는 일까지 소상하게 적시돼 있어 공보물만 꼼꼼하게 살펴도 어떤 후보가 우리 동네를 위해 일할 수 있는 적임자인지를 가늠하기가 어렵지 않다. 지방선거는 주민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우리 동네 일꾼을 뽑는 일이다. 올바른 일꾼을 선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