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지역미래 책임질 일꾼 뽑는 날
시민 한사람 한사람 적극적인 참여로
위기의 울산 살릴 재도약 토대 마련을

▲ 최연충 울산도시공사 사장

매일 출퇴근길에 공업탑을 지난다. 1962년 울산이 특정공업지구로 지정된 후 이를 기념해 세운 탑이다. 공업탑의 다섯 기둥은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성공적 추진과 인구 50만 도시로의 성장을 염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 당시로는 꿈같은 미래로 여겼겠지만 그로부터 불과 30여년만에 울산 인구는 100만을 넘어섰고 1997년 광역시로 승격돼 전국 6대도시의 위상을 굳히고 있다. 외형적인 성장 뿐만이 아니다. 각고의 노력 끝에 공해도시의 오명을 벗고 이젠 친환경도시, 살고싶은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한적한 어촌에 불과했던 울산의 변신은 가히 도시 발전의 전범(典範)으로 꼽힐 만하다.

하지만 최근 울산은 커다란 시련에 직면하고 있다. 도시 성장의 뿌리격인 제조업 기반이 크게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조선해양과 자동차산업 침체의 골이 깊어지고 있고, 그 파장은 전반적인 도시 활력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인구도 계속 줄어들고 있다. 새로이 출범하게 될 민선7기 울산 시정(市政)이 풀어나가야 할 무거운 과제이다. 어떤 시정을 택할 것인지는 오롯이 시민이 판단할 몫이지만 그 시민의 뜻에는 따뜻한 격려와 함께 엄중한 주문이 담겨있을 것임이 분명하다. 이 주문에 어떻게 답할 것인가. 요컨대, 시민에게 희망과 자긍심을 줄 수 있는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단계적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긴요하다. 이와 함께 정책 효과가 현장에 고루 파급될 수 있도록 시민 참여하에 정교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실행해주기 바란다.

이를 전제로 울산의 미래를 위해 향후 시정의 중점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를 짚어본다. 먼저 산업도시 울산의 정체성을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주력산업의 체질을 개선하여 경쟁력을 회복하고, 그 토대 위에서 새로운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비하자. 바야흐로 산업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대전환시대이다. 전국의 도시가 너도나도 4차 산업혁명의 기치를 내걸고 있지만 기존 제조업 기반이 탄탄한 울산이야말로 4차 산업혁명 선도도시로 제격이다. 울산시도 일찌감치 이에 대비해 AI, 3D프린팅, 바이오메디컬, 미래자동차, 수소와 2차전지 등 신산업기반 확충에 공을 들여왔다. 이를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가 재도약의 기틀을 마련하기 바란다.

다음으로 친환경생태도시를 업그레이드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가 될 터이다. 그동안 시정부와 시민이 함께 노력해 죽음의 강으로 불리던 태화강을 살려내고 어느 도시 부럽지 않은 숲과 공원을 조성해냈다. 맑은 공기도 되찾았다. 모범적인 생태복원 성공사례로 충분히 박수받을 만하다. 하지만 이에 머물러서는 곤란하다. 한발 더 나아가 우수한 생태환경을 새로운 소득원과 일자리 창출로 연계시키는 것이 긴요하다. 태화강 국가정원 지정이 절실한 이유다. 세번째 과제는 시민 삶의 질 향상이다. 단순히 경제적 풍요만이 아니라 모든 구성원이 일상의 소소한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촘촘한 복지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품격있는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는 것도 빠뜨릴 수 없다. 끝으로 교통·물류여건 개선에도 힘써주기를 당부한다. 버스운송은 이미 한계에 이르렀다. 트램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 추진할 시점이다. 숙원인 외곽순환도로망을 조기에 완성하고,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도로도 순차적으로 해소해나가야 한다. 또한 울산항은 북방경제협력의 전초기지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 만큼 항만물류 인프라 확충에도 역점을 두어 절호의 기회를 잘 살려나갈 수 있도록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들 과제 하나하나가 결코 녹록지는 않다. 하지만 위기는 곧 기회가 아니겠는가. 민선7기 시정의 성공을 기원한다. 최연충 울산도시공사 사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