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의회는 물론 구·군의회의 원구성(院構成)은 언제나 시끄러웠다. 상·하반기로 나눠 의장·부의장·상임위원회로 이루어진 조직을 갖추는 원구성을 두고 여야의 대립은 물론이고 같은 당 출신들끼리도 심각하게 자리다툼을 벌여왔다. 불협화음 속에서 억지로 다수결에 따라 원구성을 하더라도 질시와 반목이 임기내내 계속돼 의정활동을 그르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했다.

다행스럽게 7기 울산 광역·기초의회 원구성이 무난하게 마무리될 조짐이다. 자유한국당이 독점하다시피 해오다 더불어민주당이 다수를 차지하게 된데다 대부분 의원들이 초선인 탓에 자리욕심을 크게 내지 않은 덕택으로 분석된다. 역시 초심은 순수하다는 것이 실감난다.

민주당 17석, 한국당 5석으로 구성된 울산시의회는 민주당이 의장과 제1부의장, 의회운영·행정자치·환경복지·산업건설위원장을 차지하고, 한국당은 제2부의장과 교육위원장을 맡기로 합의했다. 민주당 몫의 의장과 1부의장은 광역의회엔 초선이지만 기초의회 경험이 있는 당선자들이, 한국당 몫의 2부의장과 상임위원장은 재선의원들이 맡는 등 인선도 순조롭다. 양보와 협조가 돋보이는 원구성이다. 울산시의회 역사상 이런 적이 있었던가 싶다.

기초의회도 남구를 제외하곤 과반을 차지한 민주당 의원들이 대부분 초선이기 때문에 원구성이 수월할 전망이다. 민주당과 한국당이 7대7로 나눠져 있는 남구의회를 제외하곤 나이와 경륜을 고려해 적절하게 배분, 분란 없이 마무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의회가 원구성 때마다 분란이 끊이지 않았던 것은 사실상 의장단과 일반 의원에 대한 대우 차이가 지나치게 크기 때문이다. 시의회의 경우 일반의원은 의정활동비(150만원)와 월정수당(334만5000원)에 그치지만 의장은 업무추진비(420만원)와 전용차량, 비서 2명, 의장실 등이 주어지고, 부의장과 상임위원장도 각각 업무추진비 210만원과 130만원이 주어진다. 게다가 의장은 대내외 행사에서 단체장과 거의 비슷한 대우를 받음으로써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 효과도 크다. 사실상 의장단은 의원들이 회의 진행 등을 위해 내세운 대표일 뿐임에도 마치 주민들의 대표인 것처럼 과도한 특혜를 누리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지방의회는 주민을 대신해서 자치단체의 살림을 감시하는 기구다. 공무원들에 군림할 이유도, 주민들로부터 상전 대우를 받을 하등의 이유도 없다. 주민들은 오로지 주어진 역할에 최선을 다해 일하는 의원을 원할 뿐이다. 7기 지방의회가 지금처럼 초심을 잃지 않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