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권 계간문학지 ‘신생’ 울산 대곡천 암각화군 찾아
가을호 ‘오래된 신생’편에 대곡천 7000년의 역사 수록

▲ 지난 6일 대곡천 일원 천전리각석과 반구대암각화를 답사한 시계간 ‘신생’ 편집인과 작가들.

세계유산잠정목록 ‘대곡천 암각화군’에서 창작 원천을 찾으려는 국내 문단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연말 전국단위 55명의 시인들이 참여한 시집 <반구대 암각화>가 나온(본보 2017년 12월19일 15면)데 이어 반구대포럼은 한국문단의 원로와 중견작가들에게 암각화를 소재로 창작시를 의뢰하고 관련 화시전(畵詩展)을 펼치기(본보 2017년 12월20일 9면)도 했다.

 

최근에는 부산을 비롯해 김해와 마산 등 경남권에서 활동하는 계간문학지 <신생> 동인들이 대곡천 일원을 직접 방문, 생명사랑·인간사랑에 바탕한 시정신의 발로로 활용하고 있다. 최근 7개월 새 일어난 이같은 움직임은 정치논리에서 벗어나 문학적 감성으로 바라본 반구대암각화를 전국에 알리는 효과를 가져 와 수십년째 부유하는 암각화 보존해법을 마련하는데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일 울주군 언양읍 대곡천 일원을 답사한 시전문 계간 <신생> 편집팀은 “오는 9월 출간될 2018년 가을(통권76)호에 ‘반구대암각화’와 ‘천전리각석’을 포함한 대곡천 일원의 사연을 싣는다”며 “그에 앞서 문화재와 그 주변 현장을 둘러보기 위해 울산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신생은 시문학 계간지이기는 하나 매호 ‘오래된 신생’이라는 제목 아래 매체의 정신과 실천적 활동을 독려하기위해 외부 전문가 및 언론인의 기고문을 특집으로 실었다. 이는 생명과 평화를 선도하는 시의 역할과 사명을 이어가기 위함으로, 이번 가을호에는 정부와 지자체의 활동과 이를 바라 본 전문가와 시민단체의 시선을 묶어 7000년 대곡천의 역사를 다루게 된다.

이규열(시인) 편집인은 “매호 발간 준비를 하면서 지리산과 제주 등 ‘오래된 신생’이 다뤄 온 현장들을 방문했다. 울산 방문도 그 일환이다. 어쩌면 한반도 문화의 시원이자 문자 이전의 문학적 기록인 암각화를 통해 우리시대 진정성을 고민하는 기회를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홍영진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