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영남권 지역의 광역자치단체장이 이달 말 한자리에 모인다고 한다. 최근 낙동강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영남권 지역의 수돗물에서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된데 따른 대책회의인 셈이다. 과불화화합물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발암물질로 분류해놓고 있다. 울산을 비롯한 낙동강 권역의 주민들로서는 1991년 낙동강 페놀사건을 연상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날 회의에는 일원화된 물관리를 맡게된 환경부의 김은경 장관과 송철호 울산시장, 오거돈 부산시장, 권영진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김경수 경남도지사와 지역 국회의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맑은물’ 공급과 관련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지역의 단체장과 국회의원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여 대책을 숙의하는 것은 처음이다. 그만큼 이날 모임에 거는 기대가 크다. 한번의 만남에서 복잡다단한 물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는 없겠으나 십수년동안 논의가 계속돼온만큼 환경부가 앞장서 확실한 대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특히 송철호 시장은 이날 회의에 각별한 전략을 갖고 참석해야 한다. 울산의 사정이 다른 4개 도시의 문제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이다. 다른 도시들은 낙동강 수계에 있는 도시로서 보다 깨끗한 취수원 확보가 관건이지만 울산은 반구대 암각화 보존과 맑은물 문제의 동시해결을 위해 낙동강물 구입량을 줄이고 경북지역의 댐물을 공급받아야 하는 처지다. 자칫 이날 논의에서 열외가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우려가 드는 대목이다.

우선은 인류의 문화유산인 반구대 암각화 보존이 울산지역민에게 떠넘길 숙제가 아니라는 점을 부각해야 한다. 사연댐물은 울산의 유일한 식수원인데 암각화 보존을 위해 수위를 낮춤으로써 지난해 식수 전량을 낙동강물로 대체했다는 사실에 대한 국가적 인식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미 송 시장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제방을 쌓아 물길을 돌려야 한다’는 그간의 울산시의 주장에서는 한발 비껴섰다. “문화재청과 뜻을 함께 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상황이다. 하지만 그말이 곧 식수 전량을 낙동강물로 전환하더라도 문화재청의 요구대로 사연댐 수위를 낮추겠다는 뜻으로 해석돼서는 안될 것으로 본다. 정부가 울산의 맑은 물 공급 대책을 세워주어야 한다는 전제가 들어 있음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이날 그 구체적 방안에 대한 논의의 물꼬를 터놓아야 할 것이다. 울산시와 송 시장이 꼼꼼하게 준비해서 암각화와 맑은물 문제를 동시해결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