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워도 너무 덥다. 울산도 24일 낮 최고기온이 35℃까지 치솟았다. 지난 11일부터 폭염특보가 발효돼 있다. 최저기온이 25℃를 웃도는 열대야도 지난 20일부터 계속되고 있다. 아프리카보다 더 뜨거운 날씨라고도 한다. 높은 습도 탓에 열기가 갇힌 때문이다. 오존농도(0.06ppm), 미세먼지(51㎍/㎥), 초미세먼지(32㎍/㎥)도 보통수준에 속하긴 하나 높은 편이다. 25·26일 오후엔 오존농도가 나쁨으로 예고돼 있다.

기록적인 폭염에 아스팔트도 녹아내렸다. 도로가 울퉁불퉁해져 사고위험이 높아지기도 한다. 가축폐사도 잇따른다. 울주군 한 농가에서는 지난 12일부터 닭 600마리가 폐사했고 또 다른 농가에서는 돼지 7마리가 폭염으로 폐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력수급도 비상이다. 지난 22일 북구지역 아파트에선 30분가량 정전사고도 발생했다. 비상시 대비할 수 있는 전력예비율도 23개월만에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가히 재난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문재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정부가 폭염대책을 수립해 대비하고 있지만 장기화 되는 폭염을 특별재난 수준으로 인식하고 관련 대책을 다시 한 번 꼼꼼히 챙겨주기 바란다”고 했다. 옛말에는 ‘없는 사람은 여름이 살기가 낫다’고 했는데 요즘 더위는 그렇지도 않다. 에어컨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폭염은 취약계층에게 상대적으로 더 혹독하다. 노약자는 물론 독거노인, 땡볕 노동자, 농가 등에게 더위는 도저히 피하기 어려운 고통이 되고 있다.

울산은 온열질환자도 급증하는 추세다. 질병관리본부 온열질환감시체계 운영결과에 따르면 울산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57명이다. 지난해 대비 3번째로 큰폭으로 증가한 도시로 꼽혔다.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이다.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가 나타난다. 방치하면 생명이 위태로워진다.

울산시도 폭염을 재난으로 인식하고 단·중·장기로 나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단기적으로 취약계층에 여름용품을 지원하는 등의 직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폭염 위기관리 매뉴얼, 폭염피해 보상근거 마련 등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 급속한 도시화가 폭염에도 한몫을 하고있는 만큼 중·장기적 계획하에 도시온도 낮추기와 바람길 조성 등의 시책이 필요하다. 울산은 산업화·도시화로 녹지훼손이 심각한 지역이다. 반면 산림조성면적은 전국 최하위권이다. 울산은 바다를 끼고 있는 도시이지만 지형을 고려하지 않은 도시화로 인해 바람통로가 막혀 열섬화 현상도 가중되고 있다. 폭염대책에 행정력을 집중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