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을 대표하는 ‘충의 혼’
대한광복회 총사령 박상진
브랜딩·선양사업 서둘러야

▲ 한국성 울산보훈지청장

울산의 광복절에는 다른 지역과 차이나는 부분이 있다. 대부분은 경축식이 끝나면 기념공연 등의 후속행사를 진행하지만 울산에서는 경축식에 참석한 많은 시민들이 박상진 의사 생가로 이동, 박상진 의사 추모제를 지냄으로써 광복의 기쁨과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독립투사로 순국한 박상진(朴尙鎭) 의사는 지역을 대표하는 충의 혼이라 할 수 있다. 우리 독립운동사 중에서도 가장 자료가 빈약한 1910년에 활약했고, 그가 총사령으로 활동했던 대한광복회 역시 일제로부터 감시의 눈을 피해야하는 국내 독립운동의 대표적인 비밀결사 단체였다. 박상진이 추구했던 절대독립의 틀은 지역차원의 지엽적인 운동은 아니었다. 그가 계몽운동가 외에 의병출신자들을 규합하려 했던 것은 조국의 절대독립은 무력이 전제되지 않으면 불가능했고, 이를 위해서는 의병차원을 넘어서는 군사조직이 필요했으며, 군사를 조직하려면 자금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의병조직은 친일부호들에게 자금을 받아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존재였던 것이다. 이 같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탄생한 것이 바로 ‘대한광복회’. 계몽운동과 의병적 노선의 결합이 시대적 요구에 따라 비밀결사의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대한광복회는 비록 1915년 조직이 결성된 지 3년만인 1918년 일제에 발각돼 조직이 와해되고 말았지만 박상진과 대한광복회가 전개한 의열투쟁의 정신과 방략은 3·1운동의 기반을 제공함은 물론 1920년대의 무장투쟁 단체들에게 전승돼 민족적 역량을 결집시키는 밑거름이 됐다.

울산의 경우 지역 토박이보다 직장 문제로 타지에서 건너 온 사람들이 더 많다. 지역 연고가 없다는 것은 울산시민을 하나로 묶을 구심점이 없다는 의미도 된다. 노조의 메카답게 노동운동은 치열한 반면 문화가 부재한 도시처럼 비춰진다. 이를 극복하려면 충·효정신이 필요하다. 대의를 위해 헌신한 품격 있는 인물을 울산의 표상으로 삼아야 한다. 그래서 ‘박상진’이라는 인물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박상진 의사는 울산이 역사적 스승으로 받들만한 가치와 위상을 가진 인물이다. 현실과 타협하고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했다면 누구보다도 쉽고 편안한 삶을 살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무엇이 바른 길이며 어떤 길이 역사적 책무를 다하는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하면서 대의를 향해 걸어갔다.

우리 시대와 울산 시민의 스승으로, 시민을 하나로 묶을 구심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고향 울산에서 박상진 의사에 대해 제대로 된 브랜딩이 절실히 필요하다. 대한광복회 총사령 박상진을 배출한 우리 울산에서 박상진 의사와 관련된 명칭이 혼란을 야기해서는 안된다.

‘송정’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광주광역시와 이웃 부산광역시 등 여러 곳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명이다. 우리고장 북구에서 가장 큰 수변공원인 ‘송정 박상진 호수공원’의 이름을 듣고 일부 시민이나 방문객들은 송정을 박상진 의사의 호로 혼동하고 있다. 세월이 조금만 지나도 박상진 의사의 호인 ‘고헌(固軒)’은 잊혀지고 송정만 남을 것이 명약관화하다.

울산~포항 간 복선전철화 사업 구간 내 가칭 송정역이 2020년 개통 예정으로 7월 첫 삽을 뜨면서 송정지역이 울산 동·북부권 철도 교통의 관문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가칭 송정역 인근에는 ‘박상진 의사 생가’와 ‘송정 박상진 호수공원’이 있다. 그러므로 ‘송정 박상진 호수공원’을 ‘박상진 호수공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거나 건설 중인 가칭 ‘송정역’을 ‘박상진역’으로 새로이 명명하는 것이 박상진 의사 선양사업의 시작이고 브랜딩이다.

다가오는 2021년은 박상진 의사께서 순국하신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부끄럽지 않은 후손으로서 박상진 의사를 제대로 브랜딩해 박상진 의사의 정신이 울산 시민들에게 자연스럽게 알려지고 스며들 수 있도록 뜻을 모았으면 한다.

한국성 울산보훈지청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