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일보 제16기 독자권익위원회(위원장 정원군)는 31일 본사 회의실에서 7월 월례회의를 개최했다.

임규동기자 photolim@ksilbo.co.kr

경상일보 제16기 독자위원회(위원장 정원군)가 출범 이후 첫 공식일정인 7월 월례회를 지난 31일 본사 8층 소회의실에서 가졌다. 독자위원들은 좀처럼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울산지역 경제가 돌파구를 찾을 수 있도록 언론의 역할을 당부했다. 또한 주 52시간 근무제,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위기에 처한 중소기업과 고질적인 노사갈등 등 울산이 당면한 현안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취재를 주문했다.

◇정원군 위원장(울산상공회의소 의원)= 최근 민선 7기가 새롭게 출범하면서 남북경제 교류사업 등 새로운 이슈들이 떠오르고 있다. 시기적으로 울산경제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울산시정의 방향과 그 안에서 기업인이 해야 할 역할은 무엇인지 경상일보가 지속적으로 보도해주길 바란다.

◇김성대 위원(울산녹색포럼 대표)= 최근 신문을 보면 우리 지역의 너무 어두운 부분만 조명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지속되는 울산인구의 유출, 바닥인 건설경기, 극한 대립으로 치닺는 노동문제 등이 울산의 현실이다. 그럴수록 거시적인 관점에서 울산지역 전체의 발전을 위한 건설적인 기사를 발굴·보도할 필요가 있다.

◇정미경 위원(울산자원봉사센터장)=경상일보가 7월16일자 1면과 3면에 걸쳐 심층보도한 ‘울산산업의 현주소와 미래 대진단’ 두번째 주제 ‘전환기 에너지산업과 울산의 기회’ 전문가 좌담회 기사를 감명깊게 읽었다. 경제분야에 대해 잘 모르던 독자들도 충분히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많은 지면을 할애해 상세하게 소개한 점이 좋았다.

◇홍성열 위원(울산항도선사회 도선사)= 항만업계에 종사하는 한 사람으로서 수출중심의 도시인 울산에서 항만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7월31일자 1면에 보도된 현대차 울산공장 수출물량의 울산본항 선적 추진과 같은 항만 관련 기사들의 비중이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차오철 위원(온양노인요양원 이사장)= 경상일보가 울산테크노파크와 공동으로 기획한 ‘울산산업의 현주소와 미래 대진단’ 기사는 굉장히 시기적절하고 멋진 기사라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울산이 나아갈 방향과 관련해 심층있고 밀도있는 기사를 기대하겠다.

◇이필희 위원(울산여성경제인협회 회장)= 신문 본연의 기능은 신속정확하게 시민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최근 울산경제가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보다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기사들도 필요하다고 본다. 또 지역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중소기업과 관련된 기사 비중도 많아졌으면 한다.

◇김광훈 위원(울산테크노파크 단장)= 최근 경상일보가 보도한 기사 중 박상진 의사의 서훈등급을 상향해야 한다는 기사가 눈에 띄었다. 경상일보가 문제제기를 함으로써 지역에서도 박상진 의사 서훈등급 상향을 추진할 사단법인이 결성된다니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이후의 추진상황도 지속적으로 보도해주길 바란다.

◇김영호 위원(울산건축사협회 회장)= 최근 정부가 건축과 관련돼 실시하는 모든 정책은 규제에 가깝다. 오죽하면 시공을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건축법은 건축을 하지 말라는 법이라는 말도 나온다. 울산지역에 국한된 이슈가 아닌 전국적인 사안에도 경상일보가 앞장서 문제점을 제기하고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었으면 한다.

◇민경민 위원(LS니꼬동제련 이사)= 울산시민으로서, 그리고 한 사람의 기업인으로서 두 가지 입장에 서서 신문을 읽는다. 시민의 입장에서는 최근 태화강대공원의 국가정원 지정을 위한 기획기사가 인상깊었다. 또한 기업인으로서는 울산지역 산업폐기물 문제와 최저임금제 시행 등과 관련된 기사들이 실제 피부로 와닿았다.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이슈들을 발굴해 발전적인 제안을 해주기 바란다.

◇성기창 위원(전 울산수의사협회 회장)= 앞서 경제와 관련된 이슈들을 많이 언급된 가운데 개인적으로 환경부분을 강조하고 싶다. 지금 전 세계적으로는 사람과 자연, 동물이 공존하는 삶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생태환경도시로 나아가고 있는 울산의 환경과 관련된 심도있는 기사를 주문하고 싶다.

◇본보 추성태 편집국장=산업도시 울산에서 지역기업들이 체감하는 기업경기는 현재 일반시민들이 상상하는 이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지역 중소기업들이 전국에서 처음 ‘최저임금 불복종’을 선언한 것도 가뜩이나 어려운 경기에 2년째 최저임금마저 대폭인상돼 엎친데덮친격으로 수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을 비롯한 산업계 현안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갖겠다. 정리=이우사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