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국가산단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 설립 사업이 기본 및 실시설계비 예산 확보로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경제성과 필요성 미검증, 종류별로 배관이 각자 다른 법으로 관리되고 있는 현행법 개정 문제 등을 들어 반대입장을 보여 온 산업통상자원부가 울산지역 대형사고의 최대 위험요소로 작용하는 지하배관 관리시스템 첨단화 요구를 인정한 결과이다. 울산석유화학공단과 온산국가공단내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무려 1800㎞에 달하는 지하매설배관의 통합 관리를 위해서는 센터 설립이 전제돼야 한다며 국가지원을 요청해 온 울산시에게는 가뭄에 단비가 될 것이다.

울산시에 따르면 현재 230여 개의 정유·화학업체가 밀집한 울산석유화학공단과 온산국가산단의 지하에는 화학관 821.1㎞, 가스관 572.2㎞, 송유관 158.9㎞, 상하수도관 124.2㎞, 전기·통신관 90.8㎞, 스팀관 7.3㎞ 등 석유화학제품, 가스 등을 수송하는 지하 배관이 모두 1774.5㎞에 이르고 있다. 대부분 매설한 지 20~50년 돼 노후화한데다 배관들이 복잡하게 얽혀 사고가 나면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최근 인근 경주와 포항에서 대형 지진까지 잇따라 발생, 지하 배관 사고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지하 배관파손에 의한 가스 누출사고가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는데 노후화에다 무리한 굴착공사, 배관 간 이격 거리(30㎝)를 두지 않은 매설행위, 작업에 따른 상시감시 체계 미비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배관 소유 기업체가 많은데다 관리감독 주체도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지자체 등 제각각이어서 만약의 사고 시 적극적인 대응이 어렵고, 지하 배관에 대한 관리도 비효율적이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은 인식한 울산시는 올해부터 지역 대학과 연구기관 등 16개 기관산업안전 전문가들이 참여한 ‘국가산단 지하 배관 선진화사업단’을 구성, 본격적인 지하 배관 관리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그렇지만 대책 마련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전제 조건인 ‘울산국가산단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 설립 사업이 예산을 확보하지 못한채 제자리를 맴돌았기 때문이다. 또 지하 배관을 지상화하는 ‘통합 파이프랙(Piperack·지상에 각종 배관을 설치하는 구조물)’ 구축 사업(32.3㎞)도 2015년부터 추진 중이지만 4205억원이란 막대한 비용이 소요돼 비용분담과 사업주체 등의 문제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울산시의 다급한 심정과 현실을 중앙정부가 제대로 파악, 좀 더 속도감 있는 지원으로 화답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