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워싱턴 한국전기념공원서
전쟁포로·실종자 추모행사
알파벳 순서로 이름 부르며
유해 가족품으로 반환 기원

▲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의 켈리 맥키그 국장 켈리 맥키그 DPAA 국장이 워싱턴DC에서 열린 한국전쟁 참전 미국 전쟁포로(POW)와 전쟁실종자(MIA) 호명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상사 리처드 프랭크 애벗, 이등병 도널드 레이먼드 에이블, 중사 프랜시스 하워드 어빌…”

꽃다운 나이에 6·25 전쟁에 참전했다가 끝내 고국으로 살아 돌아오지 못한 미국 전쟁포로(POW) 및 전쟁실종자(MIA)들의 이름이 11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한국전쟁 기념공원에 나지막이 하나둘씩 울려 퍼졌다.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념사업재단(KWVMF·이사장 윌리엄 웨버)이 연 ‘진혼’의 호명식에서다.

호명식은 올해로 4회째를 맞았다. 첫해인 2015년 미군 전사자 3만6574명, 2016년 미 8군 한국군 지원단(카투사) 7052명, 지난해 유엔군 전사자 3300명에 이어 올해는 전쟁 포로(POW) 및 전쟁실종자(MIA) 7704명의 이름을 알파벳 순서로 일일이 부르는 방식으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됐다.

실종자 가족과 참전용사 등 자원봉사자 250여 명이 낭독자로 참여, 1인당 30명의 이름을 부르며 병사들의 넋을 기리고 이들 모두의 유해가 하루빨리 가족 품으로 돌아오길 기원했다.

행사에 참석한 조윤제 주미 한국대사와 표세우 국방무관,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의 켈리 맥키그 국장 등도 낭독자로 나섰다.

올해 행사의 호명 대상으로 전쟁포로와 전쟁실종자가 정해진 것은 지난해 가을이지만, 마침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의 합의에 따라 지난 1일 55구의 유해송환이 이뤄진 것과 맞물려 그 어느 때보다 ‘특별한 호명식’이 됐다. 참석자들 사이에서는 기대와 희망도 묻어나왔다.

앞서 한국전쟁참전용사협회(KWVA)가 6·12 북미정상회담에 앞서 유해송환을 정상회담 의제로 채택해 달라고 요청하는 서한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앞으로 보냈던 것으로 알려지는 등 유해송환 및 신원 확인은 실종자 가족과 참전용사들에게는 오랜 한을 푸는 숙원 과제이다.

실제 지난 9∼10일 워싱턴DC에서 이틀간 열린 DPAA 연례총회에는 유해송환에 따른 기대감을 반영하듯 실종자 가족 등 참석자 규모가 지난해 450명가량에서 790명가량으로 크게 늘었다고 한다.

맥키그 국장은 인사말에서 “오늘날의 철통 같은 한미 동맹은 68년 전 전장에서부터 구축됐다”며 “유감스럽게도 7700명의 미국민이 아직 한국전에서 돌아오지 못했지만, 그들의 복무와 희생은 한국과 한국민이 누리는 평화와 안보, 안정, 번영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결코 헛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조 대사는 인사말에서 “한국전 당시 실종된 병사들의 유해가 싱가포르 회담의 합의 결과로 고국으로 돌아온 직후 여러분을 만나게 돼 더 뜻깊다”며 “한국은 이들이 사랑하는 이들의 품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며, 이러한 임무는 모든 이들이 가족 품에 안길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