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시간과 재능을 기쁘게 활용해
대가를 바라지않고 행하는 자원봉사는
무한 긍정에너지로 따뜻한 세상 만들어

▲ 임길엽 교직원자원봉사회 회장 전 대현초 교장

생활보호대상자인 할아버지 한 분이 계셨다. 어느 날 할아버지는 동네 놀이터에 떨어져 있는 유리조각을 발견했다. 버려진 유리 조각에 아이들이 다칠 거라는 생각이 들자 할아버지는 얼른 유리조각을 치웠다. 놀이터에 자주 아이를 데리고 오던 엄마가 고맙다는 인사를 건넸다. 그때부터 할아버지는 놀이터를 항상 깨끗이 치우는 자원봉사자가 됐다.

자원봉사활동이란 이처럼 강제가 아닌 자유 의지에 의한 선택으로 대가를 바라지 않고 개인이나 공동체에 혜택을 주기 위해 자신의 시간과 재능, 에너지를 제공하는 일이다.

울산에는 2017년 말 기준으로 3175개 자원봉사단체에 30만명의 자원봉사자가 있다. 등록되지 않은 봉사자나 봉사단체를 합치면 울산 인구의 절반이 자원봉사자라고 보면 될 것 같다.

필자가 속한 교직원자원봉사회는 지난 2003년부터 수연어린이집, 울산양로원, 가온소규모복지센터, 백합주간보호센터 등을 찾아 돌봄과 그림그리기 봉사를 주로 해오고 있다. 지금은 퇴직한 회원들이 매주 2시간씩 밝은미래복지재단에서 다문화가정과 이웃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1대1 수준별 한글을 가르치고 있다. 대부분 40년 이상 교단에 올라 학생들을 가르치던 회원들인데, 퇴직 후에도 우리를 필요로 하는 분들이 있다는 것에 큰 즐거움을 느끼며 15년째 봉사를 이어가고 있다.

자원봉사는 건강한 사회가 제공하는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활동이다. 시간이 있을 때 마음이 내킬 때만 하는 것이 아니라 권리이자 의무요, 삶에 대한 대가의 지불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자원봉사는 일이다. 자원봉사지만 보수를 받고 하는 일과 같이 ‘책임’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는 순으로 가족과 친구, 자원봉사를 꼽는다. 자원봉사를 하게 되면 건강하고 오래 살 수 있다는 과학적 통계가 있다. 자긍심과 자신감을 얻고 새로운 친구를 만나고 인간관계가 넓어지고 깊어진다. 자신의 사회적 친분관계 개선이나 믿음을 얻기 위해 하는 사람은 봉사를 오래 할 수 없다. 자원봉사자 스스로 만들어 낸 가치가 무한할 수 있다는 것을 일깨워 주는 것이 자원봉사가 아닐까?

각종 모임이 있지만 의미있는 일을 하는 이들의 가치관을 보고 느끼면서 자신의 삶이 변하고 마음 속 깊은 곳의 상처도 치유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자원봉사로 자기 성장, 자아실현의 단계에 이를 때 행복과 감사를 배우게 된다.

필자는 지난 1월 인도네시아 먼따와이섬 피난민촌에서 봉사를 하며 내 나라가 대한민국인 것에 진심으로 감사했다. 지난 2016년 차바 태풍 때 태화동과 십리대밭 부근에 제 발로 걸을 수 있는 모든 울산 시민이 나와 봉사하는 장면을 보며 가슴이 벅차오름을 경험했다. 필자가 속한 교직원자원봉사회도 태화강 공원에서 뻘을 제거하는 200여명 군인들에게 태성플랜트 검정 회사의 도움을 받아 간식을 제공하며 자원봉사에 나선 바 있다. 당시 어떤 회원이 “태어나 이런 기쁨을 느끼는 것은 처음”이라며 “아들 같은 군인들이 잘 먹는 모습만 봐도 기쁘다. 포항지진 현장에도 가자”고도 했다.

봉사가 봉사를 낳는다고 생각했다. 자원봉사를 하다 만난 이들은 마치 함께 여행하는 친구와 같다. 같은 일을 하다보면 공감대가 형성 된다.

주변을 들여다보면 누군가의 도움을 빌리지 않으면 극복할 수 없는 현실에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 사람들에게 대가를 바라지 않고 손을 뻗어주는 것, 나의 시간과 작은 재능으로 다함께 긍정적인 에너지를 발산하는 일, 그것이 자원봉사의 정신이 아닐까. 앞에서 말한 놀이터에서 유리 조각을 줍던 그 할아버지는 즐거운 마음에 옆 공원까지 청소를 깨끗이 하셨다. 이웃들이 유급청소인력이 있는데 할아버지가 계속 청소를 하게 두느냐는 불만을 제기하자 담당공무원이 그 동안 애쓰셨다며 이젠 쉬시라고 했다. 할아버지는 그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떴다.

임길엽 교직원자원봉사회 회장 전 대현초 교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