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노사관계를 풀기 위한 ‘노사정 원탁회의’가 논의되고 있다. 노조와 회사측, 울산시가 참여하는 노사정 원탁회의가 고착 상태에 빠진 현대중공업 노사관계에 물꼬를 트는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현대중 노사는 지난달 24일 열린 21차 교섭을 끝으로 임단협을 중단했다. 노조는 파업으로, 사측은 희망퇴직으로, ‘강대강’의 대립을 이어가고 있다. 노사관계 회복은 경쟁력 강화의 첫걸음이다.

노사정 원탁회의를 먼저 제안한 쪽은 노조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지난달 29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4년간 지속한 구조조정은 기업 담장 안에서 노사 당사자가 해결할 수준의 문제를 넘어섰다”면서 “지방정부와 노사, 관계기관이 함께 원탁회의를 열고 고용문제 해결을 통해 지역사회 공동체가 회복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에 울산시가 긍정적으로 답변했고 회사측은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회사측의 입장이 아직은 불투명하지만 실무협의가 진행되고 있다니 기대를 걸어본다.

사측은 “노조가 문제 해결을 위한 진정한 의지가 있는지, 의도가 무엇인지 의심스럽다”며 신중을 기하고 있다. 노조는 울산시에 노사정 회의 개최를 건의하면서 ‘회사측의 구조조정과 고용문제 해결’이라는 전제조건을 먼저 제시했다. 자칫 울산시에 노조측의 주장을 대변해달라고 부탁하는 것처럼 여겨질 우려가 있는 대목이다. 성공적 원탁회의를 기대한다면 아무런 전제조건 없이 원점에서 논의를 해나가야 한다. 울산시의 신중한 접근도 필요하다. 마치 노사정 원탁회의가 성사된 것처럼 시도지사간담회에서 대통령에게 보고하는 등 앞서나간 측면이 있다. 중재자로서 신뢰를 얻으려면 공정성이 중요하다. 회사측도 비판적으로만 접근할 일은 아니다.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함께 어려움을 극복해나가겠다는 인식을 갖고 원탁회의를 통해 고착 상태의 노사관계를 풀어나가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현대중공업의 노사문제가 노사당사자가 해결할 단계를 넘어선 것이 분명하다면 ‘노사정 원탁회의’가 해결의 지렛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누가 제안을 했느냐에 집착할 이유는 없다. 결과가 성공적이지 못할 것을 우려할 이유도 없다. 지금의 현대중공업 노사는 다시 협상테이블에 마주 앉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현대중공업 노사문제는 곧 지역사회의 문제다. 해양공장 가동중단만으로도 지역사회의 충격이 적잖은데 노사관계 악화로 조선부문의 경쟁력이 더 저하된다면 울산 경제의 한축이 무너지는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원탁회의에 기대감을 갖는 이유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