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의 고령화와 함께 가장 큰 걱정거리의 하나로 떠오르는 것이 치매다. 치매는 환자 본인의 고통은 물론 돌봄에 대한 부담으로 가족의 큰 희생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사회경제적 손실도 막대하다. 전국적으로 치매환자는 7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 문재인 정부는 출범과 함께 ‘치매 걱정 없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선언하고 전국 기초단체마다 치매안심센터를 조성하도록 했다. 울산도 정부가 치매국가책임제 추진 계획을 밝힌 지 1년만에 구·군별로 5개 치매안심센터가 문을 열었다. 치매환자들을 대상으로 쉼터를 마련하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나름의 역할을 수행해 나가고 있으나 치매관리의 허브가 되기엔 아직 역부족이다.

울산시의회 서희웅·백운찬·박병석 의원은 3일 한국치매예방협회 울산지부 관계자 등과 ‘인지교육 활성화를 위한 노인전문학교 설립 간담회’를 가졌다. 치매는 생활습관과 깊은 관련이 있는 질환이므로 노인 대상 인지교육을 하는 전문학교 설립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날 간담회의 목적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6월 누구나 찾아가서 전문상담사에게 치매와 관련한 모든 것을 상담할수 있는 치매안심전문학교를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립했다. 치매에 대한 불안감이 있는 시민들에게는 그야말로 치매안심학교인 것이다. 울산도 치매예방 인지교육을 위한 전문학교 개설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앞서 단순놀이와 취미활동에 치중돼 있는 복지관과 경로당의 프로그램을 인지교육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전문가의 조언에도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부의 치매국가책임제는 치매안심센터를 통한 1대1 맞춤형 사례관리, 치매안심요양병원확충, 장기요양 대상자 확대, 경제적 부담 완화, 치매지원사업 확대, 치매연구투자 확대, 정책체계 구축 등을 주요 골자로 삼고 있다. 실행기구인 치매안심센터는 전국 256개 보건소 산하에 두고 있다. 치매와 관련한 예방, 상담, 조기진단, 보건·복지자원 연계와 교육 등의 제공하고 단기이용시설인 ‘쉼터’와 환자가족들을 위한 ‘카페’도 운영한다.

하지만 치매안심센터가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폭넓은 업무에 비해 전문인력과 검사·치료장비가 부족한데다 지역내 일선의료기관과의 협력관계 구축도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접근이 용이한 보건소 인근 지역 주민들의 이용이 늘고 있기는 하나 사각지대에 있는 환자들 관리도 막막하다. 조기검진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공공의료가 주력해야 할 사례관리 등에는 소홀하다는 지적도 있다. ‘치매 통합관리 서비스’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의 적극적인 의지가 필요한 이유이다. 치매국가책임제의 지역 시스템 구축에 관심을 쏟아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