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위기론이 확산되고 있다. 울산지역 수출은 2011년 광역자치단체 최초 1015억 달러 수출 이후 매년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667억 달러로 경기, 충남에 이어 3위를 기록했으나 곧 서울에 추월당할 것으로 분석된다. 감소세 여파로 우리나라 수출에서 차지하는 울산의 비중도 2009년 18.7%에서 2017년 11.6%로 추락했다. 성장률도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는데 실제로 최근 6년간(2010~2016년) 울산의 연평균 성장률은 전국 최저수준인 2%에 머물고 있다.

비단 여기에만 머물지 않는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 등 수치로 나타내는 경제지표 어느 곳에서도 희망적인 요소는 찾기 힘들다. 하나 같이 우리나라 수출에서 차지하는 울산의 비중이 갈수록 감소하고, 연평균 성장률도 전국 최저수준을 나타내면서 산업수도 울산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스웨덴 ‘말뫼의 눈물’을 넘어 한국판 ‘러스트 벨트화(미 중부의 쇠락한 제조업지대)’가 우려된다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조선업종 부진으로 시작된 구조조정의 회오리 바람에 수많은 사람이 일터를 떠나고, 남아 있는 사람도 앞날을 장담하기 힘들게 되면서 걱정의 강도는 점점 강해지고 있다.

물론 걱정만 있는 것은 아니다. 곳곳에서 타개책도 제시하고 있다. 울산발전연구원 강영훈 박사는 12일 발표한 울산경제사회브리프에서 ‘울산 3대 주력산업 위주에서 벗어나 지역 내 혁신자원을 활용하는 새로운 지역산업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존 산업입지계수에 따른 지역 주력산업 선정이 아니라 혁신도시 내 이전공공기관의 기능적 특성을 활용한 에너지신산업·재난안전산업 육성과 교육훈련서비스업 등 새로운 산업을 육성, 산업의 스펙트럼을 확장하는 ‘지역산업정책의 대전환’을 말한다.

이에 대해서는 울산시를 비롯한 경제계, 노동계도 공감하나 실행부분으로 들어가면 의문투성이다. 과연 울산의 경제주체들이 작금의 경제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부터 믿겨지지 않는다. 지역산업정책부터 3대 주력산업인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산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체질개선에 주력해야 할 중소기업들도 ‘대마불사’라고 대기업 위주의 주력산업이 하루아침에 내려앉지는 않을 것이라는 낙관적 인식아래 안주하고 있다는 인상이 짙다. 그나마 잘 나간다는 중견기업들의 부동산 기업화 소식도 심심찮게 들려온다. “법적인 책임만 면해준다면 지금 당장이라도 기업운영을 그만두고 싶다”는 한 기업인의 하소연이 예사롭지 않은 울산의 경제 현실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