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가진 18일 울산에서는 ‘신북방정책과 울산항 대응전략’을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 이번 정상회담을 남북경제교류의 새로운 출발선으로 삼겠다는 정부의 계획과 울산항이 북방물류권역의 에너지산업지원 허브항만이 돼야 한다는 울산시의 주장이 하나의 고리로 엮일지 관심이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북방경제에 큰 기대감을 갖고 지난 7월 취임과 동시에 남북교류협력추진상황보고회를 개최한 데 이어 지난달 북방경제협력특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여왔다. 지난 주 송시장이 블라디보스톡에서 열린 제4차 러시아 동방경제포럼에 다녀온 것도 그 연장선으로 북방경제가 울산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란 바람에서다. 하지만 울산이 ‘북방경제협력의 전진기지’가 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가 실현되기엔 갈 길이 너무나 멀다. 정부는 ‘투포트 정책’으로 오랫동안 부산·광양항에 치중해 울산항에 대한 투자를 거의 하지 않았고 울산시도 그동안 울산항에 크게 관심을 쏟지 않아 항만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경기침체까지 겹쳐 올들어 7월까지 울산항의 물동량이 1년전과 비교하면 2.9%나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일허브 사업도 개점휴업상태다. 국가적 북방경제에서 울산항이 얼마만큼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북방경제에 관심을 쏟는 도시가 울산시만도 아니라는 것도 고민거리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문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한 이날 부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양과 대륙을 연결하는 접점도시인 부산에도 세계도시로 발전할 절호의 기회가 다가오고 있다”고 밝히며 5개 분야 35개 사업을 포함하는 ‘남북 상생 교류협력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울산이 부산과의 경쟁에서 앞서려면 더 구체적이고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남북정상회담의 최종 목적지는 ‘한반도 평화’이지만 그 방법은 ‘한반도 신경제 지도’라는 문대통령의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경제·문화 교류가 될 것이 틀림없다. 이번 동행 방북단에 정계보다는 경제·사회·문화계 인사들이 대거 포함된 것도 그 때문이다. 특히 철도·항만 등 경제교류를 위한 인프라 구축은 이번 방북에서 가장 중시되고 있는 분야다. 그 때문에 전례 없이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동행한 것이다.

북방경제에 있어 울산이 전진기지가 될 자격은 충분하다. 국토의 남쪽 끝자락에 자리한 산업수도인데다 울산의 3대 주력산업인 자동차·조선·석유화학산업이 모두 남북경협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협조 속에 항만 인프라 구축 등 울산의 취약점을 찾아 선제적 대응을 해나가야만 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